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33
이칭/별칭 정문 두승산콩마을,두승산콩마을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문들목길 63-1[용계동 490-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상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2012년 7월 25일연표보기 - 정문 희망마을 웰빙체험센터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 정문 희망마을 농촌 체험 휴양 마을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 정문 희망마을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체험 관광형 슬로푸드 마을 조성 사업에 선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 정문 희망마을 제8회 행복 농촌 만들기 콘테스트에서 대통령상 수상
소재지 정문 희망마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문들목길 63-1[용계동 490-1]지도보기
성격 농촌 체험 휴양 마을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용계동에 있는 농촌 체험 휴양 마을이자 마을 기업 공동체.

[개설]

정문 희망마을은 ‘정문 두승산콩마을’ 또는 ‘두승산콩마을’이라고도 부른다. 콩을 이용한 식당과 가공식품을 운영하는 마을 공동체이다.

[명칭 유래]

정문 희망마을은 행정안전부 희망마을 만들기 공모 사업에 선정되어 정문마을에 ‘희망’을 합쳐 부르게 되었다. 정문마을은 정문안이라고 불렀는데, 언양 김씨김준김준의 아내 및 아들의 충신, 열녀, 효자로서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언양김씨삼강정려[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

[형성 및 변천]

2012년 행정안전부 희망마을 만들기 공모 사업에 선정되면서 정문 희망마을 웰빙체험센터가 2012년 7월 25일 용계동 정문마을에 건립되었다. 희망마을 만들기는 주거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 공원이나 복지시설, 특산물 생산 시설 등 주민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복합 생활 공간을 만드는 것이 목적인 사업이다. 정문 희망마을은 2012년 농촌 체험 휴양 마을 사업자로 지정되었다. 2017년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체험 관광형 슬로푸드 마을 조성 사업’에 선정되어 마을 식당과 가공 시설, 체험 센터를 조성하였다. 이후 주민들로 구성된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하여 마을 식당을 운영하고 가공식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자연환경]

정문 희망마을은 호남의 명산이라고 부르는 두승산 동쪽 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현황]

정문 희망마을은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운영하는 마을 기업 형태의 공동체이다. 정읍 지역의 고품질 국내산 콩을 주민들이 직접 가공하여 두부와 청국장, 두부과자 등 다양한 제품을 만들어 판매한다. 정문 희망마을 웰빙체험센터는 두부 만들기 체험장과 식당, 특산품 판매장을 갖추고 있으며, 마을 식당은 콩과 두부를 활용한 청국장전골과 순두부찌개, 두부김치, 콩국수 등의 메뉴로 운영되고 있다. 체험 프로그램으로 두부 만들기, 두부도넛 만들기 등을 운영하며, 학생들의 체험 교육장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정문 희망마을은 정읍시 먹거리 홍보, 전통 방식 체험 학습, 고령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하여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으며, 2021년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한 ‘제8회 행복 농촌 만들기 콘테스트’에서 최고의 영예인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