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65
한자 龍溪洞
영어공식명칭 Yonggye-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용계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진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용계리 개설
개설 시기/일시 1983년 2월 15일 -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용계리에서 전라북도 정주시 용계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주시 용계동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용계동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용계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용계동으로 개편
성격 법정동
면적 3.52㎢
가구수 244가구
인구[남/여] 400명[남 207명|여 193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정읍천(井邑川)이 마을 앞에서 소(沼)를 이루어 용추(龍湫)라 한 데서부터 용계동(龍溪洞)이라는 지명이 비롯되었다.

[형성 및 변천]

본래 고부군 소정면의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구암리, 신덕리, 상흑리, 성동, 금구리와 정문리, 하흑리, 공평리의 각 일부와 우덕면의 대암리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소성면 용계리로 개설되었다. 1983년 2월 15일 정주시에 편입되면서 용계동으로 개칭되어 전라북도 정주시 용계동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용계동으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용계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용계동 지형은 두승산에서 소성면 주천리로 이어지는 산지에 형성된 산간 분지와 함께 바작산에서 내려오는 산록완사면, 그리고 정읍천이 형성한 범람원 지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산간 분지는 정일제에서 내려오는 농업용수를 통하여 밭농사와 논농사가 계단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록완사면에는 경사면이 낮아지면서 가족묘원과 계단식 농경지가 분포한다. 범람원 일대는 북쪽의 흑암동에서 발원하는 소하천이 정읍천과 합류하는 지점에 발달된 평야로 논농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산간 분지와 산록완사면 지형에는 급경사면이 평지와 만나는 지점마다 마을이 들어서 있다.

[현황]

2023년 1월 현재 용계동의 면적은 3.52㎢이며, 인구는 244가구, 400명[남자 207명, 여자193명]이다. 용계동은 동쪽으로 망제동, 농소동, 서쪽으로 고부면 만수리, 소성면 주천리, 남쪽으로 공평동, 소성면 주천리, 북쪽으로 흑암동과 접하고 있다. 법정동 용계동의 행정동은 농소동이다.

용계동에 속한 마을로는 정문, 구암, 용계, 신덕 등이 있다. 용계동에는 문화유산으로 언양김씨삼강정려[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가 있고, 교육 기관으로 정일초등학교가 있다. 보건 의료 기관으로 정읍아산병원과 부속 장례식장 등이 있다. 용계동국도 제29호국도 제22호가 주천삼거리에서 만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