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지도』 「고부군」·「태인현」·「정읍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45
한자 『海東地圖』 「古阜郡」·「泰仁縣」·「井邑縣」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한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750년대 - 『해동지도』 「고부군」·「태인현」·「정읍현」 편찬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해동지도』 보물 제1591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해동지도』 보물로 변경 지정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1750년대 편찬된 『해동지도』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태인현·정읍현의 지도.

[개설]

『해동지도(海東地圖)』는 국가 차원에서 제작된 방대한 분량의 회화식 채색 필사본 지도로, 우리나라의 도별 군현 지도(郡縣 地圖)뿐만 아니라 팔도총도(八道總圖), 서북피아양계전도(西北彼我兩界全圖) 등도 수록되어 있다. 『해동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보물로 변경되었다. 2024년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다.

[제작 발급 경위]

『해동지도』는 조선 정부가 비변사 소장 지도 및 정보 등을 기반으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고부군」·「태인현」·「정읍현」을 비롯한 군현 지도는 회화식으로 제작되었고, 지도의 상하좌우 여백을 이용하여 호구·전결·곡물·건치 연혁·산천·군명,·고적·역원·서원·불우·토산 등의 항목과 방위·방면 등을 기록하였다.

[형태]

『해동지도』는 8첩(帖) 채색 필사본의 지도첩이며, 크기는 가로 약 47㎝, 세로 약 30.5㎝이다.

[구성/내용]

『해동지도』는 1748년부터 1750년 사이의 내용이 담겨 있어 조선 후기 영조 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각 책의 이름은 제1책 경기도, 제2책 해서전도·관서전도, 제3책 관동전도·북관전도, 제4책 서북피아양계전도, 제5책 영남전도, 제6책 호서전도, 제7책 호남전도, 제8책 팔도총도이다. 제7책인 호남전도에 「고부군(古阜郡)」, 「태인현(泰仁縣)」, 「정읍현(井邑縣)」 지도가 실려 있다.

「고부군」 지도는 상단에 읍성의 둘레는 835파(把), 민호(民戶)는 5,429호, 전(田)은 3,852결 88부 4속, 답(畓)은 5,361결 96부 5속, 곡물(穀物) 총수는 환상잡곡유고(還上雜穀留庫) 2,206석(石) 13두(斗), 미봉(未捧) 4,626석 4두, 군병(軍兵) 총수는 각양납미포군(各樣納米布軍) 2,818명, 금어상번군(禁御上番軍) 181명, 속오군(束伍軍) 585명, 감영아병(監營牙兵) 98명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지도의 우측에는 경도(京都)까지 640리[약 251.3㎞], 영문(營門)까지 110리[약 43.2㎞], 동쪽 태인 경계까지는 30리[약 11.8㎞], 태인까지 40리[약 15.7㎞], 서쪽 부안(扶安) 경계까지 10리[약 3.9㎞], 부안까지 30리, 남쪽 흥덕(興德) 경계까지 15리[약 3.9㎞], 흥덕까지 30리, 북쪽 김제(金堤) 경계까지 30리, 김제까지는 60리[약 13.6㎞]라고 적혀 있다. 지도의 하단에는 19개 읍면이 기록되어 있는데 동부면(東部面), 남부면(南部面), 성포면(聲浦面), 소정면(所井面), 우덕면(優德面), 우일면(雨日面), 장순면(長順面), 수금면(水金面), 달천면(達川面), 답내면(畓內面), 오이면(吾尔面), 벌미면(伐未面), 거마면(巨麻面), 백산면(白山面), 궁동면(宮洞面), 북부면(北部面), 부안면(富安面), 덕림면(德林面)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읍현」 지도를 보면 성곽은 없으며, 원호(元戶)는 2,419호, 원전답(元田畓)은 3,881결 4부 9속, 포전답(宲田畓)은 1,881결 33부 1속, 곡물 총수는 각양잡곡(各樣雜穀) 7,088석, 군향잡곡(軍餉雜穀) 1,714석, 군병 총수는 경안부각읍군(京案付各邑軍) 886명, 순영속각읍군(巡營屬各邑軍) 141명, 병영속각읍군(兵營屬各邑軍) 296명, 입암산성속각읍군(笠巖山城屬各邑軍) 243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지도의 우측에는 경도까지 580리[약 227.8㎞], 영문까지 100리[약 39.2㎞], 동쪽 순창(淳昌) 경계까지는 30리, 순창까지 90리[약 35.3㎞], 서쪽 고부 경계까지 5리[약 2㎞], 고부까지 25리[약 9.8㎞], 남쪽 장성(長城) 경계까지 30리, 장성까지 70리[약 27.5㎞], 북쪽 태인 경계까지 15리, 태인까지는 30리라고 적혀 있다. 아울러 현내면(縣內面), 동면(東面), 남일면(南一面), 남이면(南二面), 서일면(西一面), 서이면(西二面), 북일면(北一面), 북이면(北二面)의 정보를 부기하고 있다. 지도의 하단에는 영은사(靈隱寺), 반약사(般若寺), 각료암(覺了庵), 영원사(灵源寺), 유마사(維摩寺), 백련암(白蓮庵) 등의 불우(佛宇)와 기타 누정(樓亭), 역원(驛院) 등을 기록하고 있다.

「태인현」 지도를 보면 성곽은 없으며, 원호는 7,897호, 원전답은 8만 8978결 28부 9속, 포전답은 5,772결 66부 6속, 곡물 총수는 각양잡곡 1만 3060석, 군향잡곡 585석, 군병 총수는 경안부각읍군 3,223명, 순영속각읍군 170명, 병영속각읍군 2,387명, 좌수영속수군(左水營屬水軍) 10명, 우수영속수군(右水營屬水軍) 3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지도의 우측을 보면 경도까지 563리[약 221.1㎞], 영문까지 70리, 동쪽 전주(全州) 경계까지는 40리, 전주까지 70리, 서쪽 고부 경계까지 10리, 고부까지 40리, 남쪽 정읍 경계까지 15리, 정읍까지 30리, 북쪽 금구(金溝) 경계까지 20리[약 7.9㎞], 금구까지는 40리라고 적혀 있다. 아울러 지도 하단에는 거산면(居山面), 옹지면(翁池面), 동촌면(東村面), 산내면(山內面), 산외면(山外面), 고현내(古縣面), 남촌면(南村面), 서촌면(西村面), 흥천면(興天面), 인의곡면(仁義谷面), 북촌면(北村面), 용구산면(龍口山面), 사곡면(沙谷面), 은기동면(銀器洞面), 감산면(甘山面) 등 15개 읍면의 정보를 담고 있다. 또한 지도의 좌측면에는 산, 역원, 불우 등의 정보도 담겨 있다.

이처럼 『해동지도』 「고부군」, 「태인현」, 「정읍현」 지도에는 관아를 비롯한 서원, 사찰, 사우(祠宇), 산성, 교량, 정문(旌門) 등의 인공 건축물은 물론, 고부군의 남산(藍山)·덕성산(德星山)·수광산(水光山)과 고부천, 정읍현내장산(內藏山)·아요산(峨要山)정읍천, 태인현칠보산(七寶山)·상두산(象頭山)·흑방산(黑方山)과 태인천 등의 산천도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해동지도』는 수록된 정보를 볼 때 국가 차원에서 제작된 방대한 분량의 지도책으로, 당시까지 제작된 국내 군현 지도는 물론 세계 지도, 외국 지도, 관방 지도 등 국내외 지도를 총 망라하고 있다. 이는 『해동지도』 제작 당시 조선 정부가 국내 정세는 물론 국제적 상황과 지리적 정보에 관심을 갖고 있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