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347 |
---|---|
한자 | 『東輿圖』「井邑」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한상호 |
[정의]
조선 후기 제작된 『동여도』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정읍현·태인현 지도.
[개설]
『동여도(東輿圖)』는 1조 23첩으로 된 채색 지도이다. 고산자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저본이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와 『대동여지도』 제작 이후에 필사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서울역사박물관 소장본이 2002년 12월 7일 보물 제1358-1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본이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358-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각각 보물로 변경되었다.
[형태]
『동여도』는 조선 전도를 분첩절첩식으로 구성한 채색 필사본 지도이다. 목차 1첩과 지도 22첩 등 모두 23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28장의 지도를 연결하여 펼치면 가로 약 3.2m 세로 약 7m 정도의 대형 지도로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정밀한 조선 전도이다. 『동여도』는 가로 80리[약 31.4㎞], 세로 120리[약 47.1㎞]인 한 개의 방안이 한 면(面)으로, 한 첩을 접은 크기이다. 즉, 지도 한 면은 가로 20.1㎝, 세로 30.2㎝이다. 『동여도』에는 12종류의 도식[지도표(地圖標)]이 적용되었으며, 육로[10리 간격]와 해로를 표시하여 거리를 구분하고 있다.
[구성/내용]
지도에는 산천 표시와 함께 주현별(州縣別) 경계선을 그어, 주현 간의 도로를 표시하였다. 그리고 영진(營鎭), 주현, 진보(鎭堡), 역도(驛道), 목소(牧所), 방면(坊面), 창고(倉庫), 봉수(烽燧), 능침(陵寢), 성(城), 도로(道路), 파수(把守) 등을 표시하였다.
『동여도』 속에 나타난 전라도 고부군의 주요 산은 백산(白山), 묵방산(墨方山), 수광산(水光山), 계동산(桂東山), 두승산(斗升山), 망제산(望帝山), 천태산(天台山), 정토산(淨土山) 등으로 고부군을 둘러싸고 있다. 하천은 동진강의 지류인 모천(茅川), 저천(猪川), 눌제(訥堤)가 고부군의 산줄기 사이로 흐르고 있다. 고부군의 남쪽에 있는 정읍현의 주요 산은 내장산(內藏山), 입암산(笠巖山), 칠보산(七寶山), 응산(鷹山) 등이 있다. 하천은 북천(北川), 목제천(木梯川), 노령천(蘆岺川) 등이 정읍현의 사이사이를 가르고 있다. 태인현의 주요 산은 칠보산(七寶山), 시산(詩山) 등이 있고, 하천으로는 대각천(大角川), 남천(南川), 호천(虎川) 등이 있다. 세 군현은 노령산맥 줄기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진강의 물줄기가 세 군현 사이사이를 적시고 있어 지형적으로 안정적이고 풍요로운 느낌을 주고 있다. 또한 인근의 부안(扶安), 금구(金溝), 임실(任實), 순창(淳昌), 고창(高敞), 흥덕(㒷德)과는 도로와 물길 등을 통하여 소통하고 있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동여도』는 미려하면서도 자세하게 그려진 지도이다. 또한 상세한 정보와 함께 지리적 위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경위선의 개념을 적용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과학적으로 접근하려 하였다. 또한 고부군, 정읍현, 태인현의 행정 구역과 산줄기, 하천, 지명, 도로, 고성, 역도, 목소, 방면, 창고 등에 대한 정보가 풍부하게 담겨져 있어 조선 후기 전라도 정읍현 일대의 지형과 공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에 용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