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348 |
---|---|
한자 | 『靑邱圖』「井邑」 |
이칭/별칭 | 지도,정읍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한상호 |
[정의]
1834년 제작된 『청구도』에 수록된 현재의 정읍 지역인 고부군·정읍현·태인현 지도.
[개설]
『청구도(靑邱圖)』는 조선 전역의 지리 정보와 「동방제국도(東方諸國圖)」, 「사군삼한도(四郡三韓圖)」, 「삼국전도(三國前圖)」, 「본조팔도성경합도(本朝八道盛京合圖)」와 4면 크기의 「신라구주군현총도(新羅九州郡縣總圖)」, 「고려오도양계주현총도(高麗五道兩界州縣總圖)」, 「본조팔도주현도총목(本朝八道州縣圖總目)」 등을 건(乾)과 곤(坤) 2책에 나누어 담았다. 『청구도』는 2008년 12월 22일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이 보물 제1594-1호,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 보물 제1594-2호, 2009년 4월 22일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본이 보물 제1594-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각각 보물로 변경되었다.
[형태]
『청구도』는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기초가 된 채색 필사본 2책, 총 321면의 대축척의 방안 지도이다. 지도 전체를 펼친 크기는 가로 약 462㎝, 세로 약 870㎝이며, 축척은 약 1 대 21만 6천이다. 책의 크기는 세로 31.5㎝, 가로 21.5㎝이다.
전국을 같은 비례로 제도함으로써 축척 비례가 정연하고 군현(郡縣)의 분합이 가능하도록 그려졌다. 산줄기와 물줄기를 기준으로 지역을 나누어 그렸으며, 천문 관측에 따른 경위선 표식을 적용하여 과학적으로 제작되었다. 조선 전역을 가로 22판, 세로 29층으로 나누어 편람하기 좋도록 책첩으로 만들었으며, 남북 100리[약 39.27㎞], 동서 70리[약 27.49㎞]의 방안(方眼)을 사용하여 만든 획정식(劃定式) 지도이다. 이러한 획정법은 정조 때 천문 관측으로 정하여진 8도의 극고도(極高度), 즉 경위도(經緯度)를 따른 것이다.
[구성/내용]
『청구도』는 2책으로 제1책은 청구도제(靑邱圖題), 청구도 범례, 본조팔도주현도총목, 도성전도(都城全圖), 제주현도(諸州縣圖), 동방제국도(東方諸國圖), 사군삼한도, 삼국전도, 신라주현총도(新羅州縣總圖), 고려오도양계주현총도, 본조팔도성경합도, 군국총목표가 수록되어 있고, 제2책은 본조팔도주현도총목, 도성전도(都城全圖), 제주현도(諸州縣圖), 청구도 범례가 수록되어 있다. 또한 지도에는 물줄기, 지형, 성곽, 창고, 역도(驛道), 봉수(烽燧), 교량, 고개, 섬, 호구(戶口), 시장, 군병, 토산(土産), 공납(貢納), 풍속, 능묘, 사찰 등 해당 지역에 대한 상세한 지리 정보가 담겨 있다.
「고부군(古阜郡)」 부분을 보면 읍(邑)을 비롯하여 거마면(巨麻面), 백산면(白山面), 오금면(吾琴面), 벌미면(伐未面), 덕림면(德林面), 궁동면(宮洞面), 북부면(北部面), 동부면(東部面), 장수면(長水面), 수금면(水金面), 우덕면(優德面), 남부면(南部面), 성포면(聲浦面), 소정면(所井面) 등과 함께 수원역(水原驛), 정충사(旌忠祠) 등이 보인다.
「정읍(井邑)」 부분을 보면 현내(縣內)를 비롯하여 남일면(南一面), 남이면(南二面), 서일면(西一面), 서이면(西二面), 북면(北面) 등과 고암서원(考巖書院), 천원역(川原驛), 충렬사(忠烈祠) 등이 보인다.
「태인현(泰仁縣)」 부분을 보면 현내를 비롯하여 거산면(居山面), 동촌면(東村面), 산내면(山內面), 산외면(山外面), 고현내면(古縣內面), 남촌면(南村面), 서촌면(西村面), 흥천면(興天面), 용구산면(龍口山面), 북촌면(北村面), 사곡면(沙谷面), 은기면(銀器面), 감산면(甘山面), 인의면(仁義面), 옹지면(翁池面) 등과 함께 남고서원(南皐書院), 무성서원(武城書院) 등이 보인다.
[의의와 평가]
『청구도』는 천문 관측에 의하여 정하여진 8도의 극고도를 따라 지도상의 위치를 표시하였고, 지도 구성에서 거리 정보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위하여 방안을 설정하는 등 과학적으로 제작된 지도이다. 또한 19세기 전반 전라도 고부군·정읍현·태인현의 지리 정보를 상세히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