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70
영어공식명칭 Korean wood owl
이칭/별칭 올뺌이,오빼미,올밤,옵밤,올배미,올빼시,계효(鷄鴞),산효(山鴞),치효(鴟梟),토효(土梟),효치(梟鴟),훈호(訓狐)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문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천연기념물 지정 일시 1982년 11월 16일연표보기 - 올빼미 천연기념물 제324-1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5월 31일 - 올빼미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지정
천연기념물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올빼미 천연기념물로 변경 지정
지역 출현 장소 내장산국립공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지도보기
성격 조류
학명 Strix nivicolum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척삭동물문〉조강〉올빼미목〉올빼밋과〉올빼미속
서식지 전국의 평지와 산지 숲
몸길이 약 37~46㎝
새끼(알) 낳는 시기 3월경
천연기념물 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서식하는 올빼밋과의 텃새.

[형태]

야행성 맹금류인 올빼미의 몸무게는 성체를 기준으로 약 385~800g이고, 몸길이는 약 37~46㎝, 날개 길이는 약 81~105㎝이다. 올빼미는 부엉이와 달리 귀깃이 없고 몸의 색은 전체적으로 누런 갈색을 띠며 세로줄 무늬를 하고 있다. 암컷의 몸길이는 수컷에 비하여 약 5% 더 크고 체중은 약 25%가 더 나간다. 평균 수명은 5년이다.

올빼미는 올뺌이, 오빼미, 올밤, 옵밤, 올배미, 올빼시, 계효(鷄鴞), 산효(山鴞), 치효(鴟梟), 토효(土梟), 효치(梟鴟), 훈호(訓狐) 등으로도 불렸다. 영어권 나라에서는 역시 야행성 맹금류인 부엉이와 대동소이하여 올빼미와 부엉이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모두 ‘Owl’로 표기한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올빼미는 역사 자료에 우리말로는 ‘옫바이·옷바미·올밤이’로 기록되어 있다. 한자로는 ‘효(梟)’라고 하는데 ‘새를 잡아서 나무에 매어 달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올빼미의 한자 ‘효(梟)’는 지난날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다는 형벌인 ‘효수(梟首)’,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뭇사람에게 보이던 ‘효시(梟示)’에 쓰일 정도로 부정적인 곳에 많이 쓰였다. 올빼미의 이칭인 치효(鴟梟)는 ‘포악하게 빼앗는 성질이 있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기도 하다.

올빼미는 서양에서는 불운, 건강 악화, 죽음의 징조로 간주되어 왔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줄리어스 시저의 비극』에서도 불운의 상징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그리스에서는 지식과 지혜의 새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지혜의 여신 아테나를 상징하는 새도 올빼미이다.

동양권에서도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여 올빼미는 악인(惡人)이나 불인(不仁)의 상징이었다. 특히 중국에서는 암살자나 살인자를 ‘올빼미’에 빗대기도 한다. 또한 중국에서는 올빼미를 어미를 잡아 먹는 새로 여겨 유교를 숭배하던 조선 시대에는 올빼미를 불효의 상징으로 여겼다. 동양권에서는 유일하게 일본에서는 올빼미가 긍정적으로 인식되며 올빼미 인형을 집 안에 두면 복이 온다고 믿는 미신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야행성인 올빼미에 빗대어 밤에 활동하는 사람들을 가리켜 ‘올빼미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생태 및 사육법]

야행성인 올빼미는 낮에는 둥지 주변 나무에 앉아 휴식하고 밤에 활동한다. 포식자로부터 알과 새끼를 보호할 수 있는 나무 구멍에 둥지를 틀고 번식기인 3월경에 2~4개의 알을 낳는다. 알을 품은 지 28~29일이 지나면 새끼가 깨어난다. 야행성이지만 새끼를 기를 때는 가끔 낮에 사냥을 하기도 한다. 먹이는 들쥐와 같은 설치류와 작은 조류 및 곤충이다.

올빼미의 고개는 270도까지 돌아가 가만히 앉은 채로 주위를 360도 살필 수 있으며 청각이 매우 발달하여 소리만으로도 사냥을 할 수 있다. 또한 야간 시력이 뛰어나 밤에 사람보다 100배나 더 잘 볼 수 있다. 특히 올빼미는 미세하고 부드러운 솜털이 깃털의 가장자리에 조밀하게 나 있어 날 때 깃털에서 나는 소리를 솜털이 흡수하기 때문에 날갯짓 소리가 거의 나지 않는다. 뛰어난 야간 시력으로 원거리에서도 먹잇감 포착이 가능하고 소리 없이 조용히 근접하여 일격에 먹잇감을 낚아채 ‘밤의 제왕’으로 불리기도 한다.

[현황]

정읍 지역에서는 2012년 내장산국립공원에서 처음으로 올빼미 번식 개체가 확인되었다. 2021년 실시된 내장산국립공원 자연 자원 조사에서는 정읍 일대에 서식하는 올빼밋과 조류로 올빼미, 소쩍새, 솔부엉이 등 3종 23개체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 중 올빼미내장산 일대를 비롯하여 백암 등지에서 12개체가 발견되었다.

올빼미는 주로 고목에 둥지를 틀기 때문에 고목 제거에 의한 서식지 파괴와 산림 간벌 등의 훼손으로 서식에 위협을 받고 있다. 올빼미는 1982년 11월 16일 천연기념물 제 324-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천연기념물로 변경되었다. 2012년 5월 31일 멸종 위기 야생 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