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29
한자 內藏山
영어공식명칭 Naejangsan
이칭/별칭 영은산(靈隱山)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과교동|입암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성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내장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순창군|전라남도 장성군
해당 지역 소재지 내장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과교동|입암면지도보기
성격
면적 80.138㎢[총면적]|46.364㎢[전북특별자치도 내장산 지구 면적]|33.774㎢[전라남도 백양사 지구 면적]
높이 763.5m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과교동·입암면, 순창군 복흥면,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북이면에 걸쳐 있는 산.

[개설]

내장산(內藏山)은 지리산, 월출산, 천관산, 변산의 능가산과 함께 호남 5대 명산의 하나이다. 기암괴석 등이 금강산과 비슷하여 ‘남금강’ 또는 ‘호남의 금강’으로도 불린다. 내장산은 백두대간의 영취산에서 분기한 금남호남정맥이 서쪽으로 흐르다가, 주화산에서 북쪽으로는 금남정맥, 남쪽으로는 호남정맥으로 갈라지는데, 주화산에서 전라남도 백운산으로 이어지는 호남정맥 상에 있는 산이다. 내장산은 전북특별자치도 남서부 정읍시 내장동과 순창군 복흥면에 걸쳐 있는 신선봉 또는 연결되어 있는 주변의 9개 봉우리를 모두 의미한다.

내장산의 9개 봉우리 중 최고봉은 신선봉[763.5m]이며, 노령산맥의 중부에 있다. 내장산의 9개 봉우리는 동쪽이 트여 있고, 북서남쪽의 삼면을 연결하고 있다. 북쪽에서부터 월령봉·서래봉·불출봉·망해봉·연지봉·까치봉·신선봉·연자봉·장군봉이 북쪽에서 서쪽 그리고 남쪽으로 이어져서 동쪽은 트여 있는 말굽형을 이루고 있다.

[명칭 유래]

내장산은 원래 백제 시대 636년 영은 조사가 창건한 영은사(靈隱寺)의 이름을 따서 영은산(靈隱山)이라고 하였으나, 산 안[내(內)]에 숨겨진[장(藏)] 것이 무궁무진하다 하여 내장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내장산’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1557년 승려 희묵이 과거 영은사 자리에 절을 복원하고 내장사라고 하였다.

[자연환경]

내장산은 산줄기로는 호남정맥에 위치하고, 추풍령에서 소백산맥으로부터 분기하여 남서쪽으로 뻗어 있는 노령산맥 상에 있다. 노령산맥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와 전라남도 장성군 사이에 있는 고개 이름인 노령에서 유래하였다. 내장산의 9개 봉우리 중에서 신선봉이 가장 높고, 월영봉[420m]이 가장 낮은데, 전체적으로 600~700m대의 산지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서래봉 일대는 절리가 발달하여 기암괴석을 이룬다.

내장산의 9개 봉우리의 계곡물은 동쪽으로 흘러 내장저수지를 거쳐 정읍천으로 유입하고, 이평면신태인읍 경계에서 동진강에 합류하여 서해로 흐른다. 내장산 남동 사면의 물은 순창군 복흥면에서 추령천이 되어 섬진강에 흘러들고, 남서 사면의 물은 전라남도 장성의 장성호로 흘러들어 영산강으로 흘러간다. 내장산 내부에서는 까치봉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영취봉에서 멈추는데, 산줄기 끝에 내장사가 있다. 이 산줄기를 경계로 북동쪽 계곡이 먹뱀이골이고, 남서쪽 계곡이 금선계곡이다. 먹뱀이골과 금선계곡의 물은 우화정에서 합수하여 동쪽으로 흐르다 동구리를 지나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내장저수지로 흘러가는데, 다시 북쪽으로 흘러 정읍 시내를 통과하여 이평면에서 동진강으로 유입한다.

내장산 일대는 남쪽의 순창군 복흥면과 동쪽의 순창군 쌍치면 등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의 역암·응회암·유문암 등으로 구성된 신라층군 상부를 관입 분출한 백악기 말의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백악기에 관입한 화산암류인 응결 응회암은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산악 지대를 형성하는데, 내장사를 중심으로 타원상의 분포를 보인다. 그리고 절리가 잘 나타나는 안산암으로 이루어져 산정에는 절벽이, 산 사면에는 애추(崖錐)가 형성되어 있다.

지형 조건에 따른 명소로는 신선봉 북동쪽 3.2㎞의 원적계곡이 있다. 원적계곡은 연지봉과 망해봉, 까치봉 사이에서 시작하는 계곡인데, 남쪽의 금선계곡에 비하여 지형이 완만하고 암벽이 없어 예부터 불출재, 이조암재 등 교통로로 이용되었다. 원적암과 불출암, 승려 진묵 토굴, 백년 약수터, 장군수 샘터 등이 있다. 북쪽의 서래봉은 바위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선봉 남서쪽 2.2㎞의 금선계곡에는 계곡을 따라 기름바위, 천연동굴인 용굴, 암굴동문인 신선문, 금선폭포 등이 있다. 내장산 동쪽 추령 북쪽 골짜기에는 도덕폭포가 있다.

식물은 참나무류·단풍나무류·층층나무류 등의 낙엽 광엽수림이 많다. 상록 광엽수림으로는 굴거리나무, 상록 침엽수림으로는 비자나무가 있으며, 능선에는 부분적으로 침엽수림이 분포한다. 특히 비자나무와 굴거리나무는 북쪽 한계 지역에 분포하는데, 원적암 일대의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은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신선봉·장군봉·연자봉·금선계곡 등에서 군락을 이루는 내장산 굴거리나무 군락도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내장산에서 가장 오래된 정읍 내장산 단풍나무는 높이 16.87m, 직경 1.13m, 가슴 높이 직경 0.94m에 수령은 290년 이상으로 추정되는데, 2021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내장산 단풍은 10월 말에서 11월 초가 절정이며, 연간 내장산 관광객의 80%가 이 시기에 방문한다.

[현황]

내장산 지역은 1971년 우리나라 8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총 면적은 80.138㎢이다. 이 중 전북특별자치도 내장산 지구 면적이 46.364㎢, 전라남도 백양사 지구 면적이 33.774㎢이다. 내장산 탐방 코스는 10개가 있다. 이 중 6개 코스, 즉 자연 관찰로 코스, 서래봉 코스, 전망대 코스, 신선봉 코스, 백양사에서 내장사 종주 코스, 능선 일주 코스가 내장산을 중심으로 한 탐방 코스이다. 특히 능선 일주 코스는 일주문, 서래봉, 불출봉, 망해봉, 연지봉, 까치봉, 신선봉, 연자봉, 장군봉, 동구리를 거치는 탐방 코스이며, 왕복 11.7㎞ 거리에 약 7시간이 소요된다. 내장산 계곡을 둘러싸고 있는 8개의 봉우리를 모두 둘러볼 수 있는 코스이다. 내장산 케이블카는 1980년 개통되었으며, 탐방 안내소부터 연자봉 중턱까지 운행한다. 케이블카 도착점에서 300m 정도 거리에 전망대가 있다.

내장산 계곡에는 본래 636년(무왕 37) 영은 조사가 세운 영은사가 있었다고 한다. 지금의 내장사영은사 터에 1938년 정읍시 천원면에 있던 보천교의 건축 자재를 사용하여 세워졌다. 내장사 입구 동구리 골짜기에는 임진왜란 당시 승병장인 승려 희묵이 승병을 이끌고 왜군과 싸울 때 쌓았다는 내장산성과 ‘유군치’라는 고개 지명이 남아 있다. 금선계곡에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보존터인 용굴과 은적암 터가 있는데, 내장사 본당 입구에서 용굴암 및 은적암까지의 길을 ‘실록길’이라고 한다. 내장산국립공원 입구의 우화정(羽化亭)은 콘크리트 구조물이었으나 2016년 팔각지붕 형태의 전통 한옥 형태로 재건축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