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390
한자 大興蘭
영어공식명칭 Big-root Cymbidium
이칭/별칭 두륜란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대흥란 특정야생동식물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대흥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보호야생동식물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 대흥란 멸종위기야생동식물Ⅱ급 지정
지역 내 자생|재배지 내장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지도보기
성격 부생식물|멸종위기야생생물
학명 Cymbidium macrorhizon Lindl.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속씨식물문〉외떡잎식물강〉미종자목〉난초과
원산지 한국|일본|중국|태국
높이 10~30cm
개화기 7~8월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내장산국립공원에서 생육하고 있는 난초과의 부생식물.

[개설]

대흥란은 난초과의 풀로서, 생물의 사체·배설물·분해물 등에 기생하여 사는 부생식물이다. 일본, 중국, 태국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온대 남부·중부 해안 지대의 습한 산기슭에서 숲속 썩은 식물에 기생하여 자란다. ‘대흥란’이라는 명칭은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사찰인 대흥사 근처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여졌으며, 대흥사가 있는 산이 두륜산이어서 ‘두륜란’이라고도 한다. 1993년부터 특정야생동식물로 지정되었고 1998년부터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보호야생동식물으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부터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는 내장동 내장산국립공원에서 대흥란의 생육 모습이 확인되었다.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에서는 내장산의 자연 자원 보전을 위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는데, 2017년도 모니터링 이후 대흥란이 개화하지 않아 서식 여부가 불확실한 상태에서 절멸 가능성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2020년에 개화한 대흥란을 발견함에 따라 계속하여 내장산에서 생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내장산국립공원에서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인 대흥란을 보호하고자 내장사에서 원적암으로 이어지는 탐방로 구간의 비탈면에 있는 대흥란 자생지를 2032년까지 특별보호구역[지정 면적 1만 4235㎡]으로 지정하여 사람의 출입과 차량 통행, 탐방객 수를 제한하고 있다.

[형태]

녹색 잎이 없고 막질 비늘잎이 마디에 드문드문 달려 있다. 뿌리줄기는 길이 15㎝ 정도이다. 줄기는 곧게 서 있으며, 높이 10~30㎝ 정도이고 짧은 털이 조금 있다. 7~8월에 피는 꽃은 줄기 위쪽에서 2~6개씩 드문드문 달리며, 흰색 바탕에 붉은 자주색이 돈다. 꽃싸개는 길이 0.5~1㎝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은 거꿀달걀꼴이고 길이는 2㎝쯤에 너비 0.3~0.4㎝ 정도이다. 입술꽃잎은 쐐기 모양, 길이 1.5㎝쯤이고, 끝이 3개로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며, 위를 향하여 달린다.

[생태]

현재 대흥란은 주로 제주도나 남해안 일대의 해안 지대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위도가 높은 내장산에서 야생하는 대흥란은 상대적으로 학술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흥란이 속한 보춘화속의 다른 식물과는 다르게 개화 후 수분 매개체의 도움 없이 자가수분하는 특징이 있어 개체 간이나 지역 간의 유전적 변이가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