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사조선동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475
한자 內藏寺朝鮮銅鐘
영어공식명칭 Bronze Bell of Chosun in Naejang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내장동 58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전경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68년연표보기 - 내장사조선동종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1974년 9월 27일연표보기 - 내장사조선동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9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내장사조선동종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내장사조선동종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내장사조선동종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현 소장처 내장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1253[내장동 588]지도보기
원소재지 보림사 -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로 224[봉덕리 45]
성격 동종
재질 청동
크기(높이,길이,너비) 80㎝[총 높이]|60㎝[종신 높이]|50㎝[구경]
소유자 내장사
관리자 내장사
문화재 지정 번호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내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 동종.

[개설]

내장사조선동종(內藏寺朝鮮銅鐘)내장사가 중건된 후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寶林寺)에서 옮겨왔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놋쇠 공출을 피하여 원적암(圓寂庵)에 감추었다가 6·25전쟁 중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 포교당에 피난시켜 보전하였다. 종의 하단에는 ‘건륭33년 무자10월 일장흥보림사명정암중종주 성 윤광형 대선사 광학 화주 덕주 별좌 내응 시주질 대시주 윤광형 조한보위화부모 조인구 양씨양주 임봉□ 처안씨[乾隆三十三年 戊子十月 日長興寶林寺明正庵中鐘鑄 成尹光衡 大禪師光學 化主德周 別座來應 施主秩 大施主尹光衡 趙漢寶爲化父母 趙仁九 梁氏兩主 林奉□ 妻安氏]’라는 명문이 있어 1768년(영조 44)에 조한보가 부모인 조인구와 양씨를 위하여 주성하여 보림사 명정암에 공양한 사실을 알 수 있다.

내장사조선동종은 1974년 9월 27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바뀌었다.

[형태]

내장사조선동종은 총 높이 80㎝, 종신 높이 60㎝, 지름 50㎝로 소형이나 명문이 확실하게 남아 있다. 종구라고 하는 종의 아랫부분[하대]에 덩굴무늬 띠를 둘렀으며, 종견이라고 하는 종의 윗부분[상대]은 2단으로 나누어 상단에 연당초문, 하단에 여의두문과 복련을 당초문 사이에 묘사하였다. 그 아래에 두 줄의 원을 그리고 원 안에 범자를 돋을새김하여 24개의 범자 원문을 배열하였다. 이 아래에 네모진 유곽대를 4곳에 배치하고, 유곽대 안에 꽃잎에 자방이 돌출된 모습으로 9개씩의 유두를 조각하였다. 유곽대는 덩굴무늬로 표현하였다.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원형의 두광과 보관을 갖추고 합장한 보살입상 4구를 배치하였다. 종의 맨 위 판인 천판에는 음관인 용통(甬筒)이 마련되어 있고, 여의주를 문 단룡(單龍)으로 종 걸대인 용뉴(龍鈕)를 만들었다.

[특징]

조선 시대 동종은 종복에 다시 띠를 두르고 파도문과 같은 조각을 배치하기도 하나, 내장사조선동종은 그러한 장식이 없으며, 상대 문양대가 하대 문양대보다 더 넓고 크게 장식되어 있다. 유곽대는 신라 시대 및 고려 시대처럼 사다리꼴 모양으로 상대에 붙어 있는 형식이 일반적인데, 내장사조선동종은 상대에서 훨씬 떨어뜨려서 정사각형으로 표현된 점도 특징이다. 또 유곽대 사이에 있는 보살상이 유곽대보다 훨씬 크게 표현된 것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내장사조선동종은 1768년 조성된 것으로 당시의 종들과 비교하여 볼 때 특색이 많이 있다. 첫째, 종복에 파도문과 같은 화려한 문양이 없다. 둘째, 유곽대가 사다리꼴이 아닌 사각형인 동시에 상대로부터 훨씬 떨어져 배치되었다. 셋째, 유곽대보다 보살상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내장사조선동종을 중심으로 다른 종들과의 비교를 함으로써 호남 지역 주조 불사의 특징을 찾아 낼 수 있는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