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29
한자 林炳贊唱義遺蹟地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터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산276-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조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8년 1월 9일연표보기 - 임병찬창의유적지 전라북도 기념물 제92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임병찬창의유적지 전라북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임병찬창의유적지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변경
소재지 임병찬창의유적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산276-1 지도보기
성격 훈련장 터
지정 면적 8,292㎡
소유자 정읍시
관리자 정읍시
문화재 지정 번호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에 있는 의병장 임병찬이 의병들을 모아 훈련시킨 장소.

[개설]

임병찬창의유적지(林炳贊唱義遺蹟地)는 대한제국 시기 임병찬(林炳贊)[1851~1916]이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구하고자 의병들을 모아 훈련시켰던 역사적인 장소이다. 임병찬은 공자를 모시는 영소전(靈召殿)을 짓고, 일제에 항거할 수 있는 후진을 양성하기 위하여 ‘흥학재(興學齋)’라는 학당을 열어 제자를 가르쳤다. 또 임병찬은 주변 산중에 무기고 및 탄약 제작소, 숙영지 등을 분산 설치하고 의병들에게 군사 훈련을 시켰다.

임병찬창의유적지동학농민혁명 지도자 김개남이 체포된 장소이기도 하다. 임병찬이 김종섭(金縱燮)을 태인현 너듸[정읍시 산내면 장금리 사승마을의 옛 지명]에 있던 김개남에게 보내 너듸보다 더 험하고 높은 곳에 있는 태인현 종송리(種松里)[정읍시 산내면 종성리의 옛 지명]의 송두용(宋斗鏞) 집으로 유인하도록 시켰다. 그런 다음 김송현(金松鉉), 임병욱(林炳昱), 송도용(宋道鏞)을 시켜 전라도관찰사 이도재(李道宰)에 고발하였다. 이도재의 명을 받은 황헌주(黃憲周)는 강화병 80명을 거느리고 송두용의 집을 포위하고 1894년 12월 1일 새벽 김개남을 체포하였다. 체포된 김개남은 이도재에게 압송되어 전주 서교장(西敎場)[서쪽에 있는 군사 훈련장]에서 처형당하였다. 임병찬창의유적지는 1998년 1월 9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9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전라북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위치]

임병찬창의유적지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산276-1번지 일대에 있다. 임실군, 순창군, 정읍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회문산 자락에 있으며 섬진강댐 수변공원 전망대 맞은편 ‘산호수마을’ 이정표를 따라 높이 400m 이상의 산간 오지에 있다.

[현황]

임병찬창의유적지는 현재 건물 터만 남아 있으며, 후손들이 세운 ’대한독립의군원수부사령총장 돈헌 임선생지묘(大韓獨立義軍元帥部司令總長 遯軒 林先生之墓)’라 쓴 비와 정읍시에서 설치한 ‘구한말 호남의병 유적지 조감도’, ‘임병찬창의유적지 안내판’, 임병찬선생 창의 기념 표석 등이 남아 있다. 주변에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산호수마을이 물레방앗간, 생태 늪지, 산책로, 농촌 체험장, 전통주 체험코너 등 각종 시설을 갖추고 농촌 체험 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임병찬창의유적지임병찬이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나라와 민족을 구하고자 호남 의병을 모아 훈련시켰던 장소로 역사적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