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35
한자 甲午東學革命 百周年記念塔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쌍암동 39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97년 5월 11일연표보기 - 갑오동학혁명 백주년기념탑 건립
현 소재지 갑오동학혁명 백주년기념탑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쌍암동 392 지도보기
성격 석탑
재질 화강암|대리석|오석|동
크기(높이) 18.94m[중앙 탑]|18.94m[보조 탑]
소유자 정읍시
관리자 정읍시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쌍암동에 있는 동학농민혁명 100주년을 기념하는 탑.

[개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쌍암동 내장산조각공원에 동학농민혁명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만든 탑이다. 갑오 동학혁명 백주년기념탑 건립추진위원회가 주체가 되어 건립되었다.

[건립 경위]

동학농민혁명 100주년은 1994년이었지만 제반 여건이 허락지 않아 3년 늦은 1997년 5월 11일 ‘갑오동학혁명 백주년기념탑’이라는 이름으로 건립되었다.

[형태]

갑오동학혁명 백주년기념탑은 화강암, 대리석, 오석 등으로 제작되었으며 1개의 중앙 탑과 4개의 보조 탑으로 구성되어있다. 1995년 이탈리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특별상을 수상한 정읍시 출신의 설치 미술가 전수천(全壽千)의 작품이다. 하얀 거창석(居昌石)으로 만든 4각 뿔 모양의 중앙 탑은 가로 20m, 세로 15m의 화강암 판석 위에 가로 3m, 세로 3m, 높이 18.94m로 제작되었다. 높이 18.94m는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난 1894년을 가리키며, 흰 대리석은 동학농민혁명의 투철한 정신을 나타내고, 중앙 탑 꼭대기 부분에 있는 세 개의 금테는 1894년 1월 고부농민봉기, 1894년 3월 백산봉기, 1894년 9월 삼례봉기를 각각 상징한다. 문경석(聞慶石)으로 만든 보조 탑은 사농공상 사민(四民), 즉 모든 사람의 평등을 지향한 동학농민군의 염원을 담아 4개의 원 기둥으로 제작되었다. 각각의 원 기둥은 높이 11m, 지름 85㎝이다.

[금석문]

중앙 탑 전면에 ‘갑오동학혁명 백주년기념탑’이라고 새겨져 있다. ‘갑오동학혁명 백주년기념탑’ 명문은 1960년대부터 동학농민혁명사의 연구에 앞장서 최초의 통사인 『갑오동학혁명사』를 발간한 최현식이 지었다.

[현황]

갑오동학혁명 백주년기념탑은 전봉준공원 내에 있으며, 탑의 오른쪽에는 동학농민군 3대 지도자인 전봉준, 김개남, 손화중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탑 뒤쪽에는 내장산조각공원이 있다.

[의의와 평가]

동학농민혁명이 지니는 자유·평등·자주·민주의 정신을 잊지 않기 위하여 정읍 시민들의 의지를 모아 건립한 탑이라는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