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40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4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조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1864년 - 동학농민군 우물 조성 추정
현 소재지 동학농민군 우물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41 지도보기
성격 우물
크기(높이,길이,둘레) 1m[가로]|1m[세로]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에 있는 동학농민군이 사용한 개항기 우물.

[개설]

동학농민군 우물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가정마을에 있다. ‘가정’의 한자 표기는 아름다울 가(嘉), 우물 정(井) 자이다. 조선 전기 무렵 가정에는 두세 가구가 모여 살았지만 당시 마을 우물이 수량도 많고 수질도 좋았기 때문에 차츰 여러 집이 모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동학농민군 우물은 현재도 수량이 적지 않지만 과거에는 더 많은 양의 물이 나왔다고 한다.

1894년 4월 6일 전라도 고부군의 도교산(道橋山)으로 집결한 동학농민군들은 황토현 전투를 준비하면서 동학농민군의 우물을 식수로 사용하였고 마을 주민들이 우물의 물을 사용하여 밥을 지어 동학농민군에게 제공하였다고 한다. 이와 같은 사실은 직접 전투에 참여하지 않은 지역민들도 동학농민군에 매우 우호적이었음을 말하여 준다. 가정의 우물은 원삼국 시대 우물 유적이 출토된 곳이다. 1969년 한해 대책 사업으로 들샘을 파다가 3개의 우물 자리를 발견하였는데 전주시립박물관장 전영래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건립 경위]

동학농민군 우물 받침대에 ‘갑자이월일(甲子二月日)’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어 1864년[갑자년] 우물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한다.

[위치]

동학농민군 우물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41 가정경로회관 앞에 있다.

[형태]

동학농민군 우물은 가로 1m, 세로 1m 정방형으로 안쪽은 원형으로 되어 있고, 화강암으로 된 우물 받침대가 있다. 남방에서는 석곽도관정(石槨陶菅井)[정방형으로 쌓은 석곽 안에 밑바닥을 도려낸 큰 항아리 몸통을 묻은 샘터], 동방에서는 원형할목정(圓形割木井)[반으로 쪼갠 나무를 원형으로 맞추어 땅에 박아 흙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고 물이 고이게 한 우물]이 각각 발견되어 국내 유일의 우물 유적으로 남아 있다. 석곽도관정 바닥에서는 안산암(安山岩)으로 만든 뗀석기 2점과 부서진 토기 파편이 나왔다.

[현황]

동학농민군 우물은 여러 번 개수(改修)를 하였고, 우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우물 주위로 돌 담장을 쌓았다. 외벽 높이 12㎝, 장대석 너비 33㎝, 북쪽 장대석 길이 220㎝, 좌우 장대석 길이 100㎝, 앞쪽 장대석 길이 왼쪽 110㎝, 앞쪽 장대석 길이 오른쪽 93㎝이다. 남쪽에 여수로를 만들어 놓아서 물이 넘쳐서 흐르도록 만들었다.

[의의와 평가]

동학농민군 우물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유일한 우물 유적으로,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던 지역민들도 동학농민군에 우호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