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서원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593
한자 武城書院誌
분야 종교/유교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김영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884년연표보기 - 『무성서원지』 2권 2책 목판본으로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30년연표보기 - 『무성서원지』 2권 2책 석판본으로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36년연표보기 - 『무성서원지』 3권 4책 석판본으로 간행
성격 전적
편자 김인기
권책 2권 2책[1884년 판]|2권 2책[1930년 판]|3권 4책[1936년 판]
행자 10행 20자[1884년 판]|14행 30자[1930년 판]|14행 30자[1936년 판]
규격 세로 30.6㎝, 가로 20.1㎝[1884년 판]|세로 31.2㎝, 가로 21㎝[1930년 판]|세로 31.4㎝, 가로 21.1㎝[1936년 판]
권수제 武城書院誌
판심제 武城書院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 있는 정읍 무성서원의 사적과 연원 등을 기록한 근대 서원지.

[개설]

『무성서원지(武城書院誌)』정읍 무성서원[사적]과 관련한 제반 사항과 향사(鄕祠)[이름난 학자, 충신 등의 공적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집을 세우고 제사 지내는 사당]에 제향된 인물들의 사실을 간략히 수록하고 있다.

[편찬/간행 경위]

『무성서원지』는 크게 3개의 판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1884년(고종 21) 6월 처음 편찬한 1884년 판본은 7종으로 2권 2책이다. 이후 1930년에 김인기(金麟基)를 중심으로 한 인물들이 2권 2책으로 된 책을 다시 출간하였다. 1930년 판본의 상권 내용에 1884년 판본이 대부분 수록되었고, 하권에도 1884년 판본의 선진봉심안과 갑을기사, 지산처사장서기, 원규, 피향정 시 등 1884년의 내용이 실려 있다. 여기에 임원의 선임규례, 임무규례, 고운 등 배향 인물들의 시가 추가되었다. 주목할 점은 갑을기사로 1884년 이후 무성서원의 연혁과 관련된 내용이 추가되어 1929년까지 추이를 파악할 수 있게 된 점이다. 1936년 판본은 1930년 판본에 새로 추가한 3권을 포함한 형태로 3권 3책으로 구성되었는데, 1권, 2권은 1930년 판본과 동일하고 3권만 새롭게 제작하였다.

[형태/서지]

1884년(고종 21) 6월 처음 편찬한 목판본은 2권 2책이다. 크기는 세로 30.6㎝, 가로 20.1㎝, 10행 20자이다. 이후 1930년에 석판본으로 남진인쇄소(南振印刷所)[광주]에서 2권 2책으로 출간하였다. 김환풍(金煥豊)이 서문을 쓰고, 김인기가 발문을 썼다. 크기는 세로 31.2㎝, 가로 21㎝, 14행 30자이다. 1936년에는 석판본으로 정읍에서 3권 4책으로 출간하였다. 김환풍, 박우서(朴佑緖), 김인기 등이 서문을 쓰고 김상수(金相洙)가 발문을 썼다. 크기는 세로 31.4㎝, 가로 21.1㎝, 14행 30자이다.

[구성/내용]

1884년판 『무성서원지』는 상권·하권으로 구성되었는데 상권은 9개 내용과 31개의 하위 항목, 하권은 8개의 내용과 29개의 하위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서원지는 일정한 체계에 따라 내용을 목록화하고 구분하였지만, 『무성서원지』는 구분 없이 단순하게 항목에 따라 소제목이 나열되어 있다. 내용은 상권은 서발·최치원 관련·개요와 제향 인물·연액기사·중수일기·중수기·서원 운영 관련 정장(呈狀)·복호보노·장서기 등 9개, 하권은 보유·피향정 현판문·무성서원 현판문·연혁·학규·강습례·제향·명단 등 8개 정도의 주제로 분류할 수 있다.

『무성서원지』의 특징은 크게 5가지 정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무성서원최치원의 관련성 강조, 둘째, 무성서원이 철폐된 후 복호와 보노까지 폐지되어 다시 복구하는 과정인 복호보노환복기, 셋째, 무성서원의 연혁을 기재한 갑을기사, 넷째, 무성서원의 강습례, 다섯째, 1872년에 많은 책을 기증한 안재호의 장서기 등을 꼽을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무성서원지』는 서원에 관한 제반 사항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어 당시 서원의 운영 사실 파악에 유용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