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117 |
---|---|
한자 | 言論·出版 |
영어공식명칭 | Media and Publication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의 언론·출판 활동.
[개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신문, 출판 등의 매체를 통하여 전달함으로써 여론을 형성하거나 인쇄물을 제작·복제하여 판매 또는 배포하고 있다.
[신문]
정읍 지역 언론사로는 『정읍신문』, 『서남저널』, 『정읍시사』, 『정읍포털신문』 등이 있다. 『정읍신문』, 『서남저널』, 『정읍시사』는 주간지로 발행되고 있으며, 『정읍포털뉴스』는 비정기적으로 발행하고 있다. 인터넷 언론사로는 『정읍타임스』 등이 있다. 정읍 지역의 대표 신문인 『정읍신문』은 1990년에 창간되어 33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매주 수요일에 신문을 발행하여 2024년 1월 31일자로 1656호가 발행되었다. 『서남저널』은 2019년 10월 창간되어 정읍·고창 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수요일에 발행되어 2023년 9월 13일자로 179호가 발행되었다.
[출판]
정읍 지역의 문예지로는 대표적으로 『정읍내장문학』, 『정읍문학』이 있다. 『정읍내장문학』은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에서 발행하는 문학 동인지이며, 1980년 1월 『내장문학』을 제호로 창간되어 2022년 현재 제40집을 발간하였다. 한국문인협회 정읍지부 회원들의 작품[시, 수필]과, 초대 문인 출향 인사의 작품을 수록한 뒤 상춘곡문학제 입선작을 수록하고 있다. 『정읍문학』은 2001년 6월 20일 창립된 정읍문학회에서 발간하는 정읍 문인들의 대표적인 문예지이다. 2001년 제1호 발간을 시작으로 2022년 현재까지 제22호가 발간되었다. 정읍문학회 회원들의 문학 작품과 정읍문학회에서 실시한 정읍사문학상에 입상된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정읍 지역에서 발행되는 학술지로는 『정읍학』이 대표적이다. 『정읍학』은 정읍 지역의 역사·문화 연구 단체인 정읍학연구회가 매년 발행하는 학술지이며 2014년 5월 『정읍학』 창간호 발행을 시작으로 2022년 12월 ‘정읍학연구회 창립 10주년‘과 함께 『정읍학』 9호를 발간하였다. 해마다 정읍 지역 문화 연구 전문 학술지로 『정읍학』을 1권씩 발간하고 있다.
정읍 지역에서 발행되는 기관지로는 『정읍소식 21』, 『정읍문화』, 『녹두꽃』 등이 있다. 1995년 창간되어 정읍시청에서 분기별로 발행하고 있는 『정읍소식 21』은 시정과 의정 활동 및 지역과 다양한 정보를 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판형은 4·6배판[가로 188㎜, 세로 257㎜]이며, 분량은 30쪽 내외이고, 분기별로 4만 5000부를 발행한다. 홈페이지에서 게시물 형태로 열람할 수 있다. 정읍문화원에서 매년 발간하는 기관지인 『정읍문화』는 1991년 창간호를 시작으로 2022년 12월 제31호를 발행하였다. 정읍 역사 관련 연구 논문, 칼럼 등을 중심으로 하고 1년 동안 정읍문화원이 진행한 사업 성과를 종합하여 활동 사진, 작품 등과 함께 수록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에서 발행하는 기관지인 『녹두꽃』은 분기별로 발행되고 있으며, 2023년 가을호 제53호를 발행하였다. 녹두 칼럼, 기획 특집 기사, 동학농민혁명 주요 뉴스, 기념 재단 사업 소개, 유족 인터뷰, 지역 대담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게시물 형태로 열람할 수 있다.
이외에 정읍문화원에 정읍의 향토사를 쉽게 재조명하여 시민들에게 보급하고자 만든 향토 문화 잡지인 『샘고을』이 2016년 8월 창간호를 시작으로 1년에 2회 단행본의 형태로 발행되고 있다. 2022년 『샘고을』 14호가 발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