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08
한자 金懷鍊
영어공식명칭 Kim Hoeryeon
이칭/별칭 충민(忠敏)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류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395년 2월 - 김회련 공주목사 겸 관내권농방어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395년 윤9월 - 김회련 개국원종공신 녹훈
활동 시기/일시 1397년 - 김회련 해주목사 겸 권농병마단련사감장관 임명
추모 시기/일시 1871년 3월 - 김회련 시호 충민 추시
사당|배향지 도봉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남전길 18-13[시산리 886-1]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도강
대표 관직 한성판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시산리 도봉사에 배향된 조선 전기 문신.

[가계]

김회련(金懷鍊)[?~?]의 본관은 도강(道康)이며, 아버지는 고려 말 문하평리를 지낸 김주(金柱)이다. 부인은 예천 이씨(醴泉 李氏)이고, 아들은 도강 김씨 정읍 입향조인 김덕방(金德芳)이다.

[활동 사항]

김회련은 1392년 조선 건국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1395년(태조 4) 2월 공주목사 겸 관내권농방어사로 임명되었고, 윤9월에는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1397년 해주목사 겸 권농병마단련사감장관에 임명되었고, 1400년(정종 2)에는 한성판윤 겸 판서운관사를 지냈다.

김회련이 생전에 받은 공신녹권과 2건의 고신왕지(告身王旨)는 오늘날 각각 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金懷鍊 開國原從功臣錄券), 김회련 고신왕지(金懷鍊 告身王旨)로서 보물로 지정되었는데, 공신녹권과 고신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

[상훈과 추모]

김회련은 사망한 뒤 이조판서·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에 추증되었고, 지금의 정읍시 칠보면 남전길 18-13[시산리 886-1]에 있는 도봉사(道峯祠)에 배향되었다. 1871년(고종 8) 3월에는 충민(忠敏)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