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636 |
---|---|
한자 | 柳希津 |
영어공식명칭 | Ryu Heejin |
이칭/별칭 | 택민(澤民),신암(信庵)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송만오 |
출생 시기/일시 | 1558년![]() |
---|---|
활동 시기/일시 | 1583년 - 유희진 임실현감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588년 8월 - 유희진 사헌부감찰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유희진 의병 창의 |
몰년 시기/일시 | 1597년![]() |
출생지 | 승부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
![]()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대표 경력 | 임실현감|사헌부감찰 |
[정의]
조선 후기 정읍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장.
[가계]
유희진(柳希津)[1558~1597]의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자는 택민(澤民), 호는 신암(信庵)이다. 아버지는 유사춘(柳思春)이며, 동생은 유희문(柳希汶)·유희사(柳希泗)이다.
[활동 사항]
유희진은 1558년(명종 13) 정읍현 승부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북면 승부리]에서 태어났다. 1583년(선조 16) 임실현감을 거쳐 1588년 8월 사헌부감찰에 제수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수일(李守一)·윤황(尹璜)·김부(金溥)·유춘필(柳春泌) 등과 동생 유희문·유희사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장성(長城)에 설치된 의병청(義兵廳)에 합류하였다. 이후 김제민(金齊閔)이 이끄는 의병 부대와 함께 충청도 직산(稷山)과 경기도 진위(振威)로 진격하여 왜군과 전투를 벌였다.
유희진은 이후 왜군과의 화의가 이루어지자 잠시 고향으로 내려왔다가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유춘필 등과 함께 다시 의병을 일으켰고, 정읍 남나령(南羅嶺)[정읍시 북면 승부리]에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가 형제들과 함께 전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유희진은 사망한 뒤 사헌부집의에 추증되었고, 지금의 정읍시 진산1길 29-9[진산동 344-1]에 있는 유애사(遺愛祠)와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모현1길 70-7[모현리 302-1]에 있는 오산창의사(鰲山倡義祠)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