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906 |
---|---|
한자 | 遺愛祠 |
영어공식명칭 | yuaesa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진산1길 29-5[진산동 348-2]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류호석 |
건립 시기/일시 | 1689년![]()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854년![]()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868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4년 9월 24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4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74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유애사 전라북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1월 18일 - 유애사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변경 |
현 소재지 | 유애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진산1길 29-5[진산동 348-2]![]() |
성격 | 사당 |
양식 | 목조|팔작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2칸 |
소유자 | 유애사보존회 |
관리자 | 유애사보존회 |
문화재 지정 번호 |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진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개설]
유애사(遺愛祠)는 1689년(숙종 15) 정읍 지역의 유림들이 정읍현감으로 부임하였던 이순신(李舜臣)의 유덕(遺德)을 추모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영조 대에 사액(賜額)을 받았다. 1798년(정조 22) 유희진(柳希津)이 추배(追配)되었고, 1854년(철종 5) 유춘필(柳春苾)이 추배되었다. 유희진은 정주(井州) 북면(北面) 승부리(承富里)[현 정읍시] 출신으로, 임실현감(任實縣監),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지역 유림들과 함께 창의하였고, 정유재란 때 순국하였다. 유춘필은 유희진과 같은 승부리 출신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를 역임하였고, 임진왜란 때 유희진 등과 함께 의병 활동을 하였으며, 정유재란 때 순국하였다. 1974년 9월 24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전라북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위치]
유애사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진산1길 29-5[진산동 348-2]에 있다.
[변천]
유애사는 1689년 건립되었고,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철폐령(書院撤廢令)에 의하여 훼철되었다. 유지(遺址)에 유허비각을 세우고 단을 만들고 제향하여 왔다. 1974년 사당을 중건하였고, 1986년 강당(講堂)을 신축하였다. 1988년 외삼문(外三門)을 신축하였다. 1989년 화단을 석축하였고, 1992년 묘정비를 건립하였으며, 1993년 주변 조경을 정리하였다. 1854년 충렬사(忠烈祠)라고 이름을 바꾸었으나, 1974년 다시 유애사로 이름을 고쳤다.
[형태]
유애사 사우 1동은 목조, 와즙의 팔작지붕이며, 내·외삼문과 목조 강당 1동, 그리고 묘정비(廟庭碑)가 있다. ‘충의문(忠義門)’이라고 현판을 단 외삼문을 지나면 정면에 비각(碑閣)이 있다. 비각에 세워진 유허비에는 주벽인 이순신의 이름이 중앙에 있고, 좌우에는 배향자인 유춘필과 유희진의 이름이 각각 새겨져 있다. 비각 옆 우측에는 ‘유애사 묘정비(遺愛祠 廟庭碑)’가 있다. 비각 옆에 모충재(慕忠齎)가 있다. 비각을 지나면 ‘유애사’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 사당이 있다.
[현황]
유애사는 유애사보존회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