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662
한자 崔益瑞
영어공식명칭 Choe Ikseo
이칭/별칭 최석일(崔錫一),최일서(崔一西),최운일(崔雲一)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조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58년연표보기 - 최익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94년 - 최익서 동학농민혁명 참여
활동 시기/일시 1895년 - 최익서 관군에게 체포
활동 시기/일시 1899년 4월 18일 - 최익서 기해농민봉기 주도
활동 시기/일시 1899년 4월 22일 - 최익서 고창성 공격 실패
활동 시기/일시 1899년 4월 23일 - 최익서 정읍에서 관군에게 패배
몰년 시기/일시 1918년연표보기 - 최익서 사망
출생지 만화동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하부리 만화마을지도보기
활동지 정읍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묘소 최익서 묘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하부리 만화마을
성격 동학농민군|기해농민봉기 지도자
성별 남성
본관 초계

[정의]

개항기 정읍 출신의 동학농민군 참여자이자 기해농민봉기 지도자.

[가계]

최익서(崔益瑞)[1858~1918]의 본관은 초계(草溪)이고, 자는 익서이다. 최석일(崔錫一)·최일서(崔一西)·최운일(崔雲一)로도 알려졌다. 할아버지는 최정도(崔禎道)이고, 아버지는 최영두(崔永斗)이다. 부인은 의성 김씨(義城 金氏)이고, 아들은 최재현(崔在鉉)·최재동(崔在東)·최재길(崔在吉)·최남현(崔南鉉)이다.

[활동 사항]

최익서는 1858년(철종 9) 전라도 정읍현 입암면 만화동[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하부리 만화마을]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손화중(孫華仲) 포(包)에 들어가 1894년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으며, 동학농민혁명이 끝난 후 수배자 명단에 들어갈 정도로 주도적으로 활동하였다. 1895년 1월 정읍에서 관군에게 체포되었다가 이후 풀려났다. 1896년 10월 홍계관(洪桂寬)·손병규(孫秉奎) 등 8명과 함께 동학 2대 교주 최시형(崔時亨)을 접견하고 9개의 대접(大接)을 설치하고자 허락을 구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정읍으로 돌아온 최익서는 정읍·고부(古阜)·무장(茂長)·영광(靈光)·장성(長城)·함평(咸平)·흥덕(興德) 등 7개 군의 농민들을 모아 영학계(英學契)를 조직하였다. 영학(英學)이란 예수교를 지칭한 것으로, 당시 마항리(馬項里)[고부농민봉기 당시 집결지인 말목장터로 지금의 정읍시 이평면]에 일요일마다 영국인 선교사가 와서 주민들을 모아 놓고 선교 활동을 하였다. 이때 인근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는데, 최익서는 주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하였던 사람들을 중심으로 계(契)를 조직하고 이름을 ‘영학계’라고 하였다. 영학계는 1898년 흥덕에서 일어난 무술농민봉기를 주도하였다.

무술농민봉기가 진압되고 난 뒤 최익서동학농민혁명의 재봉기를 꿈꾸며 아버지 최영두, 동생 최방서와 함께 1899년 4월 18일 정읍현 입암면 왕심리[현 정읍시 입암면 단곡리]에서 보국안민(輔國安民)·벌왜벌양(伐倭伐洋)을 기치로 농민군을 모아 봉기하였다[기해농민봉기(己亥農民蜂起)]. 최익서는 박정집(朴正執) 등 32명을 거느리고 4월 18일 밤 고부 관아를 습격하였고, 화승총과 화약 등 무기를 확보하여 왕심리에 미리 집결하여 있던 농민 300여 명을 무장시켰다. 최익서가 이끄는 농민군은 4월 21일 흥덕(興德)·무장(茂長)을 점령한 후 4월 22일 고창성(高敞城)으로 진격하여 관군과 접전을 벌였으나 갑자기 내린 비로 화승총을 사용할 수 없어서 후퇴하였고, 4월 23일 대오를 추슬러 고부군 난산(卵山)[알뫼] 장터에서 다시 관군과 접전을 벌였으나 패하여 대다수의 농민군이 사로잡혔다. 이후 최익서는 체포되지 않고 피신 생활을 하다가 1918년 사망하였다.

[묘소]

최익서의 묘소는 정읍시 입암면 하부리 만화마을에 있다.

[상훈과 추모]

최익서는 2009년 동학농민혁명참여자 명예회복심의위원회에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로 등록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