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737
한자 高端
영어공식명칭 Go Dan
이칭/별칭 소고당(紹古堂)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명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2년연표보기 - 고단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5년 - 고단 장흥보통학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77년 - 고단 『규방가사집』 발간
활동 시기/일시 1991년 - 고단 『소고당규방가사집』 발간
활동 시기/일시 1999년 - 고단 『소고당가사속집』 발간
몰년 시기/일시 2009년연표보기 - 고단 사망
출생지 평화리 -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평화리
거주|이주지 평사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외면 평사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장흥보통학교 -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의향길 23[건산리 662]
활동지 정읍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활동지 전주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묘소 고단 묘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산내면 예덕리 지도보기
성격 작가
성별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서 활동한 문학가.

[활동 사항]

고단(高端)[1922~2009]은 1922년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평화리에서 태어나 1935년 장흥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40년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에 거주하던 김환재와 혼인하였고, 이후 정읍시 산외면 평사리와 전주시에 거주하며 평범한 가정주부로 살다가 1976년부터 규방가사를 창작하기 시작하였다.

고단은 옛것을 잇는다는 뜻의 ‘소고당(紹古堂)’이라는 당호(堂號)를 쓰며 규방가사의 창작에 열중하였다. 고단의 가사는 반가의 전통적 생활 규범 속에서 성장하고 생활하며 익힌 단아한 품성 위에 근대사, 가정사, 세상사, 그리고 종부의 감정 등을 따뜻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고단은 규방가사라는 장르의 특성을 살려 부녀자의 체험과 시선을 정직하게 드러내면서도, 자연과 인사 그리고 문화 등의 여러 방면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고단의 규방가사는 고려 말 백운화상의 불교 가사, 조선조 정극인의 유교 가사를 계승하여 정읍 가사문학의 새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고단은 2009년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고단의 저술로는 『규방가사집』[1977], 『소고당규방가사집』 상·하[삼성사, 1991], 『소고당가사속집』[삼성사, 1999]이 있다.

[묘소]

고단의 묘소는 정읍시 산내면 예덕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고단은 2005년 자랑스런 전북인 대상을 수상[문화예술 부문]을 수상하였고, 2007년 정읍 산외중학교 교정에 소고당 가사비가 건립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