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818 |
---|---|
한자 | 內藏貯水池 |
영어공식명칭 | Naejang Reservoir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소순열 |
준공 시기/일시 | 1964년 1월 1일![]() |
---|---|
최초 설립지 | 내장저수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 |
성격 | 저수지 |
면적 | 2,300㏊ |
전화 | 063-530-0300[한국농어촌공사 정읍지사]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에 있는 저수지.
[건립 경위]
동진강 지류인 정읍천에는 내장저수지와 입암저수지, 용산저수지 3개의 저수지가 있다. 각각 유역에 있는 논농사의 관개를 위하여 1950년대 저수지 공사를 시작하였다. 내장저수지는 정읍시 내장동 농업용수의 주 수원을 이루는 가장 큰 저수지이다.
[변천]
1956년 1월 1일 착공하여 1964년 1월 1일 준공하였다. 내장저수지는 정읍 시내를 통과하는 도시 하천의 상류라는 점에서 지리적 위치상 정읍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구성]
내장저수지의 총저수량은 483만 2200㎥, 유효 저수량은 482만 8200㎥이며, 유역 면적은 2,300㏊이다. 만수 면적은 79.1㏊, 홍수 면적은 84.8㏊, 수혜 면적은 591.6㏊이다. 제방 높이는 17.3m, 제당 길이는 433m이다. 홍수 빈도는 200년, 한발 빈도는 10년이다.
[현황]
내장저수지는 2023년 현재 한국농어촌공사 정읍지사가 관리하고 있다. 정읍천의 중요한 수원으로서 충적 평야가 발달한 유역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내장저수지는 정읍천을 수원으로 하는 3개의 저수지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수질도 양호하다. 다만 가뭄에 취약하여 저수량에 큰 변화가 있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내장저수지는 정읍천 상류 부근을 막아 내장산국립공원 내에 건립되었다.
내장저수지 주변에는 내장산단풍생태공원을 비롯하여 내장산수목원, 내장산조각공원, 갑오동학농민혁명 백주년기념탑, 전봉준 공원, 내장산 워터파크 등 많은 공원과 휴식 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내장저수지 둘레길은 숲길과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는 4㎞이다. 2021년 내장저수지 일부가 내장산국립공원 구역에서 해제되어 종합적인 개발이 이루어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