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822 |
---|---|
한자 | 水靑貯水池 |
영어공식명칭 | Sucheong Reservoir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소순열 |
준공 시기/일시 | 1985년 12월 30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5년 - 수청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 실시 |
현 소재지 | 수청저수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
![]() |
성격 | 저수지 |
면적 | 1,270㏊ |
전화 | 063-530-0300[한국농어촌공사 정읍지사]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에 있는 저수지.
[건립 경위]
수청저수지는 잦은 장마와 홍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정읍 지역 내 수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변천]
수청저수지는 1978년 1월 3일 착공하여 1985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축조 공사로 여러 마을이 수몰되었다. 수청저수지는 2015년 둑 높이기 사업을 실시하여 둑을 30m에서 35m로 높이고, 댐 길이를 290m에서 309m로 늘려, 저수량을 당초 449만㎥에서 700만㎥로 확대하였다. 2016년 수청저수지에서 한국농어촌공사 정읍지사가 안전 영농을 기원하는 통수식을 거행하였다.
[구성]
수청저수지의 총 저수량은 721만 8000㎥, 유효 저수량은 700만 1000㎥이며, 유역 면적은 1,270㏊이다. 만수 면적은 62.2㏊, 수혜 면적은 540.3㏊이다. 제방 높이는 35m, 제당 길이는 290m이며, 제방 형식은 필댐이다. 홍수 빈도는 200년, 한발 빈도는 10년이다.
[현황]
수청저수지는 2023년 현재 한국농어촌공사 정읍지사가 관리하고 있다. 원래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만든 저수지이지만, 저수지 바닥이 깨끗하고 상류는 산림으로 조성되어 비교적 오염원이 적다. 2015년 수청저수지의 둑이 높아진 이후 늘어난 물을 칠보천으로 흘려보내 하천 생태계 복원에 도움을 주는 등 저수지의 기능이 크게 변화하였다. 수로 신설, 취수 시설과 수변 개발, 특히 상류의 수청마을 인근 주민의 휴게 공간 마련 및 산악자전거 코스 조성 등 단순히 농업용수 공급 기능에서 벗어나 자연 힐링의 기능이 부가되었다. 댐을 둘러싼 산에는 야생화, 계곡물, 수청저수지 수변길 등이 있으며, 수청저수지 하류에 칠보물테마유원지와 태산선비마을, 정읍 김명관 고택[국가민속유산] 등 관광 자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