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073
한자 七寶川
영어공식명칭 Chilbocheon River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반곡리|시산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봉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칠보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해당 지역 소재지 칠보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반곡리|시산리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26.8㎢[유역 면적]
길이 12.3㎞[유로 연장]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칠보산 남동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칠보면을 흘러 동진강으로 합류하는 지방 하천.

[명칭 유래]

칠보천(七寶川)은 발원지인 칠보산(七寶山)에서 명칭이 비롯되었다. 칠보산은 일곱 개의 봉우리가 있으며, 봉우리의 아름다움이 보물과 같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환경]

칠보천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칠보산 남쪽 능선과 동쪽 능선 사이의 계곡에서 시작한다. 물길이 수청저수지에 모인 뒤 북동쪽으로 완만히 사행하여 시산리 게이트볼장 앞 우송교 아래에서 동진강의 왼쪽 기슭으로 합류한다. 반곡리 소장봉과 용태봉 사이 계곡 아래 석탄제에서 발원한 석탄천이 반곡리 원반교 동쪽 250m 인근에서 오른쪽 기슭으로 합류하고, 반곡리 부곡제에서 발원한 부곡천이 반곡리 186-2에서 왼쪽 기슭으로 합류한다.

[현황]

칠보천의 유역 면적은 26.8㎢이며, 유로 연장은 12.3㎞이다. 산간 지역을 흐르는 하천의 특성상 유역 내 대부분이 임야이며, 발원지로부터 수청저수지까지는 급경사의 산지 지역으로 취락과 경지가 드물게 분포한다. 수청저수지로부터 하류 지역은 취락과 경지가 산재하여 있으나 정읍시의 다른 하천들에 비하여 경지 면적이 좁으며, 경지 정리도 미비하다. 지방도 제49호가 발원지에서부터 하류까지 칠보천을 여러 번 건너면서 나란히 지난다. 동진강 합류부 주변 지역은 칠보면 소재지이며, 우송교에서 서쪽으로 직선거리 550여m에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정읍 무성서원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