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232
한자 水淸里
영어공식명칭 Sucheo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허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칠보면 수청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칠보면 수청리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11.77㎢
가구수 34가구
인구[남/여] 49명[남 28명|여 21명]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수만리(水滿里)의 수(水) 자와 내청리(內靑里)·외청리(外靑里)의 청(淸) 자를 따서 수청리(水淸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본래 태인군 남촌일변면(南村一邊面)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광덕리(光德里), 내청리, 외청리, 송정리(松亭里), 수만리, 노적리(老迪里), 피오리(皮五里), 굴치리(屈峙里)와 정읍군 동면(東面) 피오리(皮五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정읍군 칠보면 수청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전국 도농 통합 정책에 따라 정주시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수청리가 되었다.

『1872년 지방지도』[태인현]의 남촌면에 보이는 피오(皮五)·광덕(光德)·청당(靑堂)이,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1912년]의 남촌일변면에 보이는 피오리·노적리(露積里)·내청당(內靑塘)·외청당(外靑塘)·덕가리(德加里)·굴치(屈峙)·광덕리 등이 현재의 수청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정읍군지』[1936년]에는 수만동(水滿洞)·외청리·내청리·굴치리·광덕리·노적리(露積里)·피호리(避胡里)가, 『신편 정읍군지』[1957년]에는 수만동·외청(外靑)·내청(內靑)·굴치·광덕·노정(露楨)·피호(避胡)가, 『태인지』[1965년]에는 굴치·광덕·외청단(外靑丹)·내청단(內靑丹)·덕가(德加)·피울(皮鬱)이, 『증보 정읍군지』[1974년]에는 수청리(水靑里)에 광덕리·내청리·외청리·송정리·수만리·노적리(老迪里)·피오리·굴치리[태인군 남촌일변면]·피오리[정읍군 동면] 각 일부가 자연 마을로 기재되어 있다.

[자연환경]

수청리 서쪽 경계부에 칠보산, 남동쪽 경계부에 고당산이 있다. 1985년에 만들어진 수청저수지가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수청리의 면적은 11.77㎢이며, 인구는 34가구, 49명[남자 28명, 여자 21명]이다. 수청리칠보면의 남부에 있으며, 동쪽으로 순창군 쌍치면 학선리, 서쪽으로 금붕동, 남쪽으로 부전동, 북쪽으로 북면 보림리와 접하고 있다. 수청리의 자연 마을로 청광(靑光)마을, 만석(滿釋)마을이 있다. 청광마을은 내청(內靑)과 외청(外靑)을 이르는 마을이며, 만석마을은 노적(露積·老迪), 수만(水滿), 피오(皮五)가 모두 해당한다. 1985년 준공된 수청저수지로 인하여 광덕(光德)·굴치(屈峙)마을은 수몰되었다.

교통은 정읍시 부전동에서 칠보면을 잇는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가 수청리를 지나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