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870 |
---|---|
영어공식명칭 | Primate Resources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이칭/별칭 | 국가영장류자원지원센터 |
분야 |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넝메길 351-33[접지리 1246]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문만용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접지리에 있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하 영장류 자원 지원 센터.
[개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영장류자원지원센터는 영장류 자원 확보, 영장류 자원 표준화, 영장류 자원 인프라 서비스, 복지형 연구용 영장류 사육 환경 구축, 영장류 자원 활용 네트워크 강화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연구 기관이다. 국가영장류자원지원센터라고도 불린다.
[설립 목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영장류자원지원센터는 고품질 SPF[Specific Pathogen Free, 특정 병원성 미생물 미감염 상태] 연구용 영장류 자원의 생산 기반을 구축하여 국가적 영장류 자원 수급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영장류 자원 지원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2015년부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영장류자원지원센터 건설에 착수하여 2018년 최대 3,000마리의 영장류를 수용할 수 있는 영장류자원지원센터를 준공하였다. 센터 준공 이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영장류자원지원센터는 영장류 자원을 도입하여 관련 연구를 본격화하였다. 2020년 영장류 생산 기반을 구축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서는 영장류 자원의 체계적인 관리 및 유지를 위하여 미생물·바이러스 모니터링 및 헬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영장류를 집단 사육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조기 대응하기 위하여 영장류 행동 분석과 관련한 장비들을 구축하여 영장류를 관찰하고 있다. 영장류의 행동 풍부화를 위한 다양한 시설물을 도입하여 영장류의 행동 다양화 및 복지에도 힘쓰고 있다.
[현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영장류자원지원센터는 영장류 자원 확보를 위한 시스템과 인프라를 구축하고 산화 스트레스와 사이토카인 조절에 의한 암 줄기세포 발생 기전 관련 연구, 방사선 노출에 의한 뇌 기능 저하에 관한 형태학적 및 행동학적 평가와 기전 연구 등 각종 난치 질환의 병인 기전 및 재생 의학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는 분자번식생리실험실, 임상병리학실험실, 분자유전학실험실이 있으며, 수의사 2명, 사육사 7명, 행정 지원 인력 1명, 생명 연주 자원 지원 선임 연구 기사 2명이 있다. 연면적 9,739㎥의 사육동 10동과 본관동 1동, 검역동 1동 외 부대시설이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영장류자원지원센터는 연구용 영장류 대량 사육 시설 구축 및 운영을 통하여 외국에서 전량 수입되고 있는 영장류의 수요를 국내에서 자체 해결함으로써 국내 생명공학 및 바이오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