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877
한자 日光寺
영어공식명칭 Ilgwang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성황산길 50[수성동 410-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경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10년경 - 일광사 창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3년 - 일광사 인법당 확충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3년 - 일광사 요사채 조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5년 - 일광사 사천왕문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일광사 대웅전 신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6년 12월 5일 - 일광사 십일면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봉안
현 소재지 일광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성황산길 50[수성동 410-2]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박장조
전화 063-535-3380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 소속 사찰.

[건립 경위 및 변천]

일광사는 1910년경 박장조가 인법당을 지으면서 창건되었다. 1963년 박기수가 인법당을 확충하고 인근 초가를 매입하여 요사채를 조성하였다. 이후 삼성각, 종각, 미륵불 등이 새로 조성되었다. 1985년 부임한 주지 황용주가 활발한 포교를 펼치면서 사천왕문을 건립하였다. 1993년 인법당 자리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구조의 대웅전이 신축되었다. 2016년 12월 5일 대웅전에서 십일면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봉안 및 점안식을 봉행하였다.

[활동 사항]

일광사는 정읍의 대표적인 포교 사찰이다. 코로나19 이후 법회가 축소 운영되었으나 2023년 현재는 매월 초하루 법회를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주지 승천(昇天)과 신도회인 연꽃신도회가 매년 지역의 어려운 이웃을 위하여 쌀을 기탁하는 자비를 실천하고 있으며, 정읍 지역의 교육 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하여 장학금을 기탁하는 등 지역 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특히 승천은 1984년 전주교도소 교정 위원으로 위임받아 40년이 넘도록 수용자들을 위하여 봉사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대웅전 내부에는 석가모니 불상을 중심으로 문수보살상과 보현보살상 등이 봉안되어 있다. 대웅전 옆으로 요사와 삼성각, 종무소가 조성되어 있고 삼성각 아래 지장전이 조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대웅전 오른쪽에 위치하는 지장전과 달리 삼성각 아래 지장전이 조성된 독특한 현대식 가람 배치이다.

대웅전 앞뜰에는 범종각과 일광사중창공덕비, 거사 상산 김승기 행적비 등 2기의 비가 있다. 일광사중창공덕비는 일광사를 조성하는데 시주한 신도들의 이름을 새긴 비이고, 거사 상산 김승기 행적비는 사회봉사와 많은 기부를 실천하는 등 각종 자선 사업을 펼쳤으며 일광사 조성에 돈독한 신심을 발휘한 거사 김승기의 공덕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