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249 |
---|---|
한자 | 水城洞 |
영어공식명칭 | Suseong-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진성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수성리 개설 |
---|---|
변천 시기/일시 | 1930년 12월 26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수성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수성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31년 4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수성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수성리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81년 7월 1일 -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수성리에서 전라북도 정주시 수성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1995년 1월 1일 - 전라북도 정주시 수성동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수성동으로 개편 |
변천 시기/일시 | 2024년 1월 18일 - 전라북도 정읍시 수성동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으로 개편 |
성격 | 법정동 |
면적 | 2.80㎢ |
가구수 | 8,188가구 |
인구[남/여] | 16,284명[남 8,225명|여 8,059명]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수성동(水城洞)은 하천을 끼고 있는 마을이어서, 본래 물소리를 의미하는 ‘수성(水聲)’에서 명칭이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정읍천이 조곡천(棗谷川)으로 흘렀는데, 곳곳에 소(沼)를 이루고 있어 홍수가 나면 물 소리가 요란하였다고 전한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정읍현 군내면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전라북도 정읍군 정읍면 수성리(水城里)로 개설되었다.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에서 정주면으로 개칭되어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면 수성리로 개편되었다. 1931년 4월 1일 정주면에서 정주읍으로 승격되어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수성리로 개편되었다. 1981년 7월 1일 정주읍에서 정주시(井州市)로 승격되면서 전라북도 정주시 수성동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1월 1일 정읍군과 정주시가 정읍시로 통합되면서 전라북도 정읍시 수성동으로 개편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이 되었다.
[자연환경]
수성동은 두락봉과 성황산 및 북쪽 들어지봉이 연결되는 낮은 산지가 에워싸고 있다. 두락봉과 성황산이 동서로 연결되는 산지의 남쪽에는 정읍시청을 중심으로 삼태기 모양의 분지가 정읍천 방향으로 펼쳐져 있으며, 성황산과 들어지봉이 남북으로 연결된 산지의 서쪽과 서부산업도로 사이에 수성동우체국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산지에 의하여 두 개의 시가지로 분리된 것이 수성동의 특성이다.
[현황]
2023년 5월 수성동의 면적은 2.80㎢이며, 인구는 8,188가구, 1만 6284명[남자 8,225명, 여자 8,059명]이다. 수성동은 정읍시의 원도심 북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구룡동, 서쪽으로 연지동, 남쪽으로 시기동, 북쪽으로 하북동과 접하고 있다. 행정동으로 수성동이 법정동인 수성동과 하북동을 관할하고 있다.
수성동은 원래 정읍의 도심 지역에 해당하였으나 나중에 북쪽에 조성된 신도시를 포함하면서 더 확대되었다. 정읍시청, 정읍시의회, 전주지방법원 정읍지원, 정읍시 선거관리위원회, 정읍시 보건소, 국민건강보험공단 정읍지사, 정읍세무서, 정읍우체국, 수성동주민센터 등의 행정 기관이 들어서 있으며, 정읍시 가족센터, 정읍고용복지플러스센터, 정읍시청년지원센터, 정읍사회복지관, 정읍시장애인종합복지관, 정읍시평생학습관, 정읍학생복지회관 등의 기관 단체 및 편의 시설이 들어서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정읍수성초등학교, 정읍초등학교, 정읍제일고등학교, 서영여자고등학교, 장애인샘골야학교가 있으며, 언론 기관으로는 정읍신문과 서남저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