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895 |
---|---|
한자 | 東竹書院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학전길 32-57[상학리 산13-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동희 |
건립 시기/일시 | 1960년![]() |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61년 - 동죽서원 강수재 건립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72년 - 동죽서원 외신문 건립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77년 - 동죽서원 홍살문 건립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4년 4월 1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11월 19일 - 동죽서원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1월 18일 - 동죽서원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4년 5월 17일 - 동죽서원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
현 소재지 | 동죽서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학전길 32-57[상학리 산13-1]![]() |
성격 | 서원 |
양식 | 전학후묘 |
정면 칸수 | 4칸[강당]|3칸[사당] |
측면 칸수 | 2칸[강당]|3칸[사당] |
소유자 | 전주 최씨 종중 |
관리자 | 전주 최씨 종중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상학리에 있는 서원.
[개설]
동죽서원(東竹書院)은 1960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의 유림들이 창건한 서원으로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1482~1519]와 덕촌(德村) 최희정(崔希汀)[1484~1529]을 모시고 있다. 권극중(權克中)과 최희정을 모신 서산사(書山祠)가 대원군 때 훼철되자 최희정을 배향한 동죽서원을 건립한 것으로 보인다. 서산사는 1823년 이평면 팔선리 서산마을에 창건되어 1958년 서산사유허비를 세웠다. 조광조는 중종 대 개혁 정치를 전개하여 사림 정치의 기반을 구축한 도학자로 기묘사화 때 목숨을 잃었다. 선조 즉위 후 사림들이 집권하면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최희정은 본관이 전주이고, 호는 덕촌(德村)이며 1510년(중종 5) 무과에 급제하고 1516년(중종 11) 종성판관이 되어 함경도에 침략한 여진족을 무찔렀다. 여진족을 무찌른 공으로 동죽서원이 있는 동죽산 일원을 중종이 하사하였다고 한다. 최희정은 조광조의 문인이라고도 하며, 조광조가 최희정를 종성판관에 천거하였다고도 한다.
동죽서원은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1월 18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위치]
동죽서원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학전길 32-57[상학리 산13-1]에 있다. 배영중학교에서 동학로를 따라 상학리를 향하여 1.8㎞를 가면 ‘동죽서원’ 이정표가 나온다. 오른쪽 길로 들어가서 마을을 지나 산자락 아래에 있는 동죽제까지 올라가면 저수지 끝에 동죽서원 가는 길을 알리는 푯말이 있다. 주변에 정읍 상학마을 옛 담장이 있다.
[변천]
동죽서원은 1960년 건립하여 1961년 강수재를 건립하였다. 1972년 외삼문을 세우고, 1977년 홍살문을 세웠다.
[형태]
동죽서원은 전학후묘로 홍살문과 솟을대문을 지나면 강당 ‘강수재(講修齋)’가 있다. 위로 내삼문인 ‘정의문(正義門)’을 지나면 사당이 나온다. 강당 아래에는 조금 떨어져서 고직사가 있다. 고직사로 들어오는 문은 홍살문 아래 별도로 있다. 서원 전체가 돌담으로 둘러 있다.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강수재’ 편액이 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으로 ‘동죽서원(東竹書院)’ 편액이 걸려 있다. 사당 안에는 중앙에 조광조의 위패가 있고 측면에 최희정의 위패가 있다. 강수재 앞쪽으로 1968년 건립한 묘정비가 있다.
[현황]
동죽서원은 3월 15일 향사를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