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909
한자 泰興祠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 59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류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30년연표보기 - 태흥사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4년 - 태흥사 김유신 영정 봉안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4년 - 태흥사 보수
현 소재지 태흥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 591 지도보기
성격 가묘(家廟)
양식 목조|팔작지붕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김해 김씨 문중
관리자 김해 김씨 문중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에 있는 김해 김씨 문중의 가묘.

[개설]

태흥사(泰興祠)는 신라의 명장 김유신(金庾信)[595~673]을 배향하기 위하여 1930년 김해 김씨 문중에서 세운 가묘이다. 1954년 김유신의 영정을 봉안하였고 1984년 음력 3월 22일 재전(齋殿)을 수장(修粧)하고 비(碑)를 세웠다. 김유신은 신라에 투항한 가야 왕족의 후손으로, 진골 귀족이었지만 경주의 진골 귀족과는 차이가 있었으나 누이와 결혼한 김춘추(金春秋)가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으로 즉위하면서 김유신의 정치적 비중은 더욱 강화되었다. 660년 귀족회의의 의장인 상대등(上大等)이 되었고,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를 상대로 전쟁을 벌여 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서 큰 공을 세웠다. 김유신은 사후에 ‘흥무대왕(興武大王)’으로 추봉되었다. 김유신이 장군신(將軍神)으로 널리 추앙되면서 김유신을 향사하는 사당은 강원도 강릉시, 충청도 진천군, 경상북도 군위군 등 전국적으로 세워졌다.

[위치]

태흥사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 591에 있다. 고천삼거리에서 고천교 쪽으로 정읍북로를 따라 800m 정도 가다가 우회전하여 200m쯤 가면 나온다.

[형태]

태흥사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형태의 목조 건물이다. 전면과 측면에 툇마루가 설치되어 있다.

[현황]

태흥사는 봄과 가을에 향사(享祀)를 지낸다. 김해 김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김해 김씨 문중의 가묘 형태로 지어졌기 때문에 사당의 관리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문중이나 지방 자치 단체의 재정적인 지원을 통하여 건물의 보수와 주변 환경에 대한 정화 작업이 필요하다.

[의의와 평가]

태흥사는 신라의 명장 김유신을 모시는 사당으로 전국에서 유사한 형태의 사당을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