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912
한자 永慕堂
이칭/별칭 송정영당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산4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류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98년연표보기 - 영모당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7년 - 영모당 보수
현 소재지 영모당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산4 지도보기
성격 사당
양식 목조|맞배지붕
정면 칸수 1칸
측면 칸수 1칸
소유자 정읍시
관리자 정읍시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 있는 개항기 사당.

[개설]

영모당(永慕堂)은 1898년(광무 2) 건립되었다. 송정영당(松亭影堂)이라고도 불리는데, 칠광도(七狂圖)송정 십현도(十賢圖)가 봉안되었기 때문이다. 광해군 때 인목대비가 유폐되자 상소를 올려 철회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몇몇 선비들이 관직을 버리고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에 내려와 시를 짓고 경서를 강론하였다. 이 선비들을 7광10현(七狂十賢)이라고 하였다. 이후 후손들이 무성리에 영당을 세워 7광10현을 그린 그림을 봉안하여 제사를 지내게 된 것이 영모당의 기원이다. 7광은 김대립(金大立), 김응빈(金應賓), 김감(金堪), 송치중(宋致中), 송민고(宋民古), 이상형(李尙馨), 이탁(李琸)이며, 10현은 7광의 김응빈, 김감, 송치중, 송민고, 이탁과 김관(金灌), 김정(金鼎), 김급(金汲), 김우직(金友直), 양몽우(梁夢禹)를 가리킨다. 10현도는 원래 7광 중 한 사람인 송민고가 그렸는데, 뒤에 어진화가였던 채용신(蔡龍臣)송민고의 그림을 토대로 모사하고 채색하였다고 한다.

[위치]

영모당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산4에 있다. 인근에 송정을 비롯하여, 송산사시산사, 그리고 필양사 등이 있으며, 태산선비문화사료관도 있다.

[변천]

1987년 영모당을 보수하였다.

[형태]

영모당은 사당의 외문을 지나면 정면 1칸, 측면 1칸의 단촐한 사당이 세워져 있고, 담장이 주위를 에워싸고 있다. 사당은 맞배 기와지붕 형식의 목조 건물이다. 사우 내부에는 정면에 10현도가 걸려 있으며, 측면에는 「송정수계지도」, 향음주례도 복사본 그림이 걸려 있다.

[현황]

영모당에서는 10현도를 모시고 매년 중정(中丁)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영모당은 정읍 지역에 남아 있는 유일한 영당이라는 점에서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