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944
한자 圓佛敎 井邑敎堂
분야 종교/신종교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서성길 25[수성동 448-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47년 10월연표보기 - 원불교 정읍교당 설립
현 소재지 원불교 정읍교당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서성길 25[수성동 448-8]지도보기
성격 교당
전화 063-531-4438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에 있는 원불교 전북교구 소속 교당.

[개설]

원불교 정읍교당은 교단 사상 최초로 원광유치원을 설립하였다. 28명의 전무 출신을 배출하였으며 덕천교당·고창교당·고부교당·초강교당·상동교당·연지교당의 설립에 영향을 주었다. 샘골 어린이 민속큰잔치 주관, 원콜 도운회 창립, 스카우트 원불교연맹 정읍지구 연합회 창립 등을 통하여 교화에 매진하고 있다.

[설립 목적]

원불교는 1916년 박중빈(朴重彬)이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 총본산을 두고 개창한 불교 계통의 신종교이다. 우주의 근본 원리인 법신불 일원상(法身佛 一圓相)을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삼았으며 정각정행(正覺正行), 지은보은(知恩報恩), 불법활용(佛法活用), 무아봉공(無我奉公)을 강령으로 한다. 원불교의 강령을 기반으로 불교의 현대화, 생활화, 대중화를 주창하여 각자 직업에 종사하며 교화 사업을 하기 위하여 원불교 정읍교당을 설립하였다.

[변천]

원불교 정읍교당은 1947년 10월 화해교당 계타원 정법기행 교도가 김복진화, 손병호, 전종음, 신동훈 등을 입교시킨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입교한 전종음 교도가 자신의 집에 정읍지소 간판을 붙이고 법회 장소로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정읍지소에 화해교당 하산 김일현 교무가 출장 법회를 나왔다. 정읍교당의 시작이었다.

1949년 이승현 교도의 집으로 법회 장소를 이전하였다. 화해교당 순산 김창준 교무가 출장 법회를 진행하였다. 1949년 초대 교무로 부임한 이성신 교무가 요인회를 열고 교당 건축 기금을 모았다. 당시의 정읍군 광교동에 양옥 2층 건물을 매입하였으나 치안 상황에 의하여 시교동 이명진 주택 일부로 이관하였다가 다시 공선덕행 주택으로 옮기고 다시 광교동으로 가서 법회를 보았다.

1952년에 정읍 유지들로 이루어진 교도들의 도움과 화해교당의 지원을 받아 정읍시 서성길 25[수성동 448-8]에 정읍교당 건물을 매입하여 이관하였다. 2011년 ‘정읍교당 62년사 봉정 기념 법회’에서 정읍교당 창립 유공자인 정법기행, 김복진화, 손병호, 전종음, 신동훈, 정대진, 은관유, 김선광, 이양은 교도 등에게 공로패를 수여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원불교 정읍교당 교도는 일원상의 신앙과 수행을 통하여 서로 만나고 싶고, 유익을 나누며, 착함을 권장하는 형제, 자매와 같은 가족 공동체를 이루기 위하여 노력하며, 지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정읍 지역 사회에 대한 대불공을 통하여 지역 사회에 도움이 되고 함께 성장하고자 노력한다. 지역 사회와의 상생 성장을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정읍교당의 재가 단체가 지역 봉공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매년 동학농민혁명 희생 영령을 위한 정읍 지구 합동 위령제를 지내고, 현충일에는 순국 선열을 위한 위령제 등을 지내고 있다. 이와 함께 정읍시립요양병원, 은혜의집, 보은의집 등 정읍 관내의 복지 시설에 대한 관심과 후원, 지역민을 위한 반찬 나눔 활동, 지역 사회 환경 보호 활동 등을 통하여 지역민과 지역 사회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현황]

원불교 정읍교당은 2023년 현재 삼산 이장은 교무[지구장]와 유진원 교무가 근무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