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0972
한자 東學農民革命繼承事業會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벚꽃로 171[연지동 53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67년 12월 27일연표보기 - 갑오동학혁명기념사업회 설립
해체 시기/일시 1980년 12월 1일연표보기 - 갑오동학혁명기념사업회 해체
설립 시기/일시 1995년 4월 1일연표보기 - 정읍군과 정주시 기념사업회를 갑오동학혁명기념사업회로 통합
개칭 시기/일시 1998년 2월연표보기 - 갑오동학혁명기념사업회에서 정읍동학혁명기념사업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0년 12월 26일연표보기 - 정읍동학혁명기념사업회에서 갑오농민혁명계승사업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5년 1월 29일연표보기 - 갑오농민혁명계승사업회에서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로 개칭
이전 시기/일시 2015년 10월 11일 -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전라북도 정읍시 연지동 39-6에서 전라북도 정읍시 연지동 535로 이전
최초 설립지 갑오동학혁명기념사업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남북로 49[수성동 532-1]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정읍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중앙로 73[연지동 39-6]지도보기
현 소재지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벚꽃로 171[연지동 535]지도보기
성격 사회단체
설립자 전용필
전화 063-538-1984
홈페이지 http://www.donghak.or.kr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에 있는 동학농민혁명 정신 계승·발전을 위하여 설립된 사회단체.

[설립 목적]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사료 발굴과 학술 연구 등을 통하여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계승하고 선양하며, 관련 유적지를 발굴하고 기념사업을 펼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1967년 12월 27일에 당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 사무소에서 갑오동학혁명기념사업회[초대 회장 전용필]를 창립하였다. 백산 봉기일인 1894년 3월 21일을 양력으로 환산한 날짜인 1968년 4월 26일에 제1회 갑오동학혁명기념문화제를 개최하였다. 1971년 제4회 갑오동학혁명기념문화제를 황토현 전승일인 1894년 4월 7일을 양력으로 환산한 5월 11일에 황토현에서 열었다. 1980년 12월 1일 군사정부의 압력으로 갑오동학혁명기념사업회를 해체하였고, 1981년 5월 11일 제14회 갑오동학혁명기념문화제를 정읍군으로 이관하였다.

1993년 4월 정읍군 갑오동학혁명기념사업회[회장 임남곤]와 정주시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회장 김현]가 설립되었다. 1995년 4월 1일 갑오농민혁명계승사업회[회장 최현식]로 통합하였다. 1995년 5월 11일 제28회 갑오동학혁명기념문화제를 갑오농민혁명계승사업회 주관으로 개최하여 민간 주도로 환원하였다. 1998년 2월 정읍동학혁명기념사업회[회장 김현]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05년 1월 29일 명칭을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이사장 조광환]로 바꾸었다. 2015년 10월 11일 사무실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 535로 이전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동학농민혁명기념제 주관 단체로 조직위원회를 구성하여 매년 5월 11일 황토현 일원에서 동학농민혁명기념제를 열고 있다. 1994년 9월 무명 동학농민군 위령탑을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대뫼마을에 건립하였다. 1996년 9월 8일 정읍시 칠보면 축현리에 있는 동학농민군 영솔장 최경선의 묘역을 정비하고 묘비를 건립하였다. 2020년 5월 27일 기해농민봉기 발상지인 정읍시 입암면 단곡리 왕심마을에 기념탑을 건립하였다.

2017년 제123주년 동학농민혁명 기념 학술대회 ‘동학농민혁명과 고부농민봉기’, 2018년 제124주년 동학농민혁명 기념 학술대회 ‘동학농민혁명 특별법과 교과서 내용 검토’, 2019년 기해농민봉기 120주년 기념 학술대회 ‘기해농민봉기에 대한 재조명’, 2020년 동학농민혁명 126주년 기념 학술대회 ‘전투로 살펴본 동학농민혁명’, 2021년 동학농민혁명 128주년 기념 ‘동학농민혁명 관련법 개정을 위한 학술대회’, 2022년 동학농민혁명 128주년 기념 학술대회 ‘동학농민혁명과 시대정신’ 등을 주관하였다.

2004년 『동학농민혁명 인물사 탐구』, 2014년 『정읍 지역 근·현대 민족운동사』, 2018년 『사발통문과 동학혁명모의탑 학술 용역 보고서』와 『태인전투지 성역화 학술 연구 용역 보고서』, 2019년 『동학농민혁명 유족 증언록』, 2020년 『정읍동학농민혁명사』, 2022년 『감성으로 떠나는 동학농민혁명의 땅, 정읍』을 발간하였다.

[현황]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는 2023년 현재 제19대 김봉승 이사장과 부이사장 4명, 사무처장과 사무국장, 이사 30명, 6개의 분과위원회, 110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설 연구소로 동학역사문화연구소[소장 조광환]가 있다.

[의의와 평가]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는 매년 5월 11일을 중심으로 56회에 걸쳐 동학농민혁명기념제를 주관하였으며, 21회에 걸친 전봉준 역사 캠프 운영, ‘역사의 길 걷기’와 ‘시민과 함께하는 동학농민군 지도자 묘역 참배’ 등 동학농민혁명 선양과 계승 사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민간 단체이다.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을 통하여 전국적인 연대와 국제적인 연대를 추진하여 활동 범위를 넓히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