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986 |
---|---|
한자 | 東學農民革命記念祭 |
이칭/별칭 | 황토현동학농민혁명기념제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행사/행사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성실 |
시작 시기/일시 | 1968년 4월 26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0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2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9년 2월 19일 - 황토현 전승일인 5월 11일 동학농민혁명 국가 기념일 제정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23년![]() |
행사 장소 |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2-5
![]() |
주관 단체 |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벚꽃로 171[연지동 535]![]() |
행사 시기/일시 | 기념제 |
전화 | 063-538-1894 |
홈페이지 | http://www.donghak.or.kr/festival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동학농민혁명을 기념하기 위하여 매년 5월 11일 개최하는 행사.
[개설]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인 정읍시에서 개최되는 동학농민혁명기념제는 동학농민혁명 국가 기념일인 황토현 전투(黃土峴戰鬪) 전승일에 맞추어 매년 열리는 행사이다. 황토현 전투는 1894년 5월 11일[양력] 동학농민혁명 당시 동학농민군이 황토현[정읍시 덕천면] 일대에서 최초로 관군과 전투를 벌여 대승을 거둔 전투이다. 황토현 전투 이후 동학농민군의 혁명 열기가 크게 고양되었고, 이후 동학농민혁명이 전국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
2019년 2월 19일 문화체육관광부는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고 애국 애족 정신을 고양하기 위하여 황토현 전승일인 5월 11일을 ‘동학농민혁명 국가 기념일’로 제정하고 매년 기념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제는 매년 황토현 전승일인 5월 11일 정읍시에서 주최하고 동학농민혁명계승사업회가 주관하여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서 개최하고 있다.
[연원 및 개최 경위]
동학농민혁명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고 기념하는 문화 행사로 시작된 제1회 기념제는 1968년 4월 26일 정읍농림고등학교[현 정읍제일고등학교]에서 ‘갑오동학혁명기념문화제’라는 명칭으로 개최되었다. 개최일인 4월 26일은 백산 봉기일인 1894년 3월 21일을 양력으로 환산한 날짜이다. 1971년 개최된 제4회 갑오동학혁명기념문화제부터 개최일을 황토현 전승일인 5월 11일로 변경하였다. 1998년 제31회부터 갑오동학혁명기념문화제에서 동학농민혁명기념문화제로 명칭으로 변경하였고, 2000년 제33회부터는 동학농민혁명기념문화제에서 동학농민혁명기념제로 명칭을 변경하여 개최하였다.
2007년 제40회 행사부터 동학농민혁명기념제에서 황토현동학축제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2012년 제45회부터 다시 기념제로 명칭을 변경하여 황토현동학축제에서 황토현동학농민혁명기념제로 명칭을 변경하여 개최하였다. 2023년 개최된 제56회는 황토현동학농민혁명기념제에서 동학농민혁명기념제로 명칭을 변경하고 국가 기념식과 동시에 개최되었다.
[행사 내용]
1968년 개최된 제1회 갑오동학혁명기념문화제는 가장행렬, 천도교 교령 쟁탈 역전 마라톤 대회, 학술 강연 등의 행사로 진행되었다. 1975년 제8회 갑오동학혁명기념문화제부터 무명 동학농민군 위령제를 거행하였다. 1998년 제31회 동학농민혁명기념문화제에서는 동학농민군의 명예 회복 및 국가 유공자 서훈을 위한 학술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1999년 제31회 동학농민혁명기념문화제에서는 주제 강연회, 유적지 자전거 순례, 대학 노래패 경연 대회 등 다채로운 문화 행사들이 마련되었다. 2011년 제44회 황토현동학축제에서는 처음으로 ‘동학농민혁명 대상’ 시상식을 거행하였다. 제1회 동학농민혁명 대상은 김대중 대통령이 수상하였다.
2023년 ‘피어나는 녹두꽃, 자라나는 평화’라는 주제로 제56회 동학농민혁명기념제가 개최되었다. 제56회 동학농민혁명기념제는 정읍시립국악단, 정읍시 읍면동 농악단과 정읍 지역 학생들 511명이 펼치는 ‘동학-그날의 함성’으로 시작되었다. 511명은 황토현 전승일인 5월 11일을 의미한다. 이어 공식 행사인 동학농민혁명 대상 시상식과 구민사 갑오선열 제례, 무명 동학농민군의 영령을 추모하고 뜻을 되새기는 무명 동학농민군 위령제가 진행되었다. 기획 행사로는 황토현 전승지에서 승리의 기쁨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전국댄스경연대회 ‘그날의 몸짓’, 전국 소년·소녀 합창경연대회 ‘그날의 울림’, 마당극 「황토현의 북소리」 공연, 드론 퍼포먼스 ‘그날의 향연’ 등 다양한 연령대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제56회 동학농민혁명기념제는 유튜브 플랫폼을 활용한 온라인 행사도 진행되어 전 국민이 비대면 상황에서도 참여할 수 있게 하였다.
[현황]
정읍시에서 개최되는 행사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동학농민혁명기념제는 1968년 제1회를 시작으로 한 해도 거르지 않고 2023년까지 총 56회의 행사가 치러졌다. 2023년에는 제56회 동학농면혁명기념제와 국가 기념식인 ‘제129주년 동학농민혁명기념식’을 연계하여 동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서 동시에 개최되면서 정읍의 황토현 전승일을 전국적으로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인 정읍 지역의 위상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