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015
한자 初等學校
영어공식명칭 Elementary School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창주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 있는 초등 교육 기관.

[변천]

정읍 지역에 최초로 설립된 초등 교육 기관은 1906년 8월 15일 사립 광화학교로 개교한 고부초등학교이다. 이후 1910년대에 개교한 학교는 태인초등학교[1911년], 정읍동초등학교[1912년], 2000년 신태인초등학교로 통폐합된 화호초등학교[1917년], 칠보초등학교[1919년]이다. 1920년대에는 입암초등학교, 덕천초등학교, 신태인초등학교, 소성초등학교, 산외초등학교, 이평초등학교, 북면초등학교가 개교하였다.

1930년대 이르러서는 정우초등학교, 감곡초등학교, 옹동초등학교, 능교초등학교, 영원초등학교, 내장초등학교, 교암초등학교가 개교하였다. 1940년대에는 정일초등학교, 대흥초등학교, 정읍서초등학교, 보성초등학교가 개교하였다. 1950년대에는 백암초등학교, 수곡초등학교, 도학초등학교, 정남초등학교, 정읍남초등학교, 1960년대에는 영산초등학교, 서신초등학교가 개교하였다. 1970년에는 동신초등학교, 1983년에는 정읍북초등학교, 1995년에는 정읍수성초등학교, 2003년에는 정읍초등학교, 2006년에는 한솔초등학교가 개교하였다.

[통·폐합 현황]

1990년대 중반 이후 학생 수 급감으로 인한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 정책으로 1994년에 내장공원초등학교가 내장초등학교로 통폐합되었다. 1998년에 남성초등학교가 소성초등학교로, 1999년에 두승초등학교가 고부초등학교로, 대룡초등학교가 감곡초등학교로, 화죽초등학교가 산외초등학교로 통폐합되었다.

2000년에는 신풍초등학교가 영원초등학교로, 서지말초등학교·신태인중앙초등학교·화호초등학교가 신태인초등학교로 통폐합되었다. 2001년에는 이평서초등학교가 이평초등학교로, 2002년에는 보림초등학교가 태인초등학교로 통폐합되었다. 2003년에는 운용초등학교가 고부초등학교로, 2007년에는 오봉초등학교가 태인초등학교로 통폐합되었다. 2010년에는 용곽초등학교가 감곡초등학교로, 2012년에는 회룡초등학교가 정우초등학교로 통폐합되었다. 2019년에는 관청초등학교가 고부초등학교로 통폐합되었다.

[현황]

1990년 정읍 지역에는 분교를 포함하여 51개 교가 운영 중이었으며, 학생 수는 598학급에 1만 9272명이었다. 1990년대 중·후반 이후 폐교와 통폐합이 이어지면서 2000년에는 39개 교로 줄었고 학생 수는 382학급에 1만 345명이었다.

2023년 4월 현재 정읍 지역의 초등학교는 공립 34개 교가 운영되고 있다. 총 학급 수는 332학급, 학생 수는 4,342명[남학생 2,246명, 여학생 2,096명]이고, 506명의 교원이 재직하고 있다. 정읍 지역 초등학교의 현황을 보면 정읍 시내에는 교암초등학교, 내장초등학교, 동신초등학교, 서신초등학교, 영산초등학교, 정읍남초등학교, 정읍동초등학교, 정읍북초등학교, 정읍서초등학교, 정읍수성초등학교, 정일초등학교, 정읍초등학교, 한솔초등학교 등 13개 교가 있다.

읍면 단위로 살펴보면 신태인읍신태인초등학교, 감곡면감곡초등학교, 고부면고부초등학교, 산내면능교초등학교, 산외면산외초등학교, 소성면소성초등학교, 영원면영원초등학교, 옹동면옹동초등학교, 이평면이평초등학교, 태인면태인초등학교 등 1개 면에 1개 교가 있다. 덕천면에는 덕천초등학교도학초등학교, 북면에는 보성초등학교북면초등학교, 입암면에는 대흥초등학교입암초등학교, 정우면에는 정남초등학교정우초등학교 등 각 2개 교가 있으며, 칠보면에는 백암초등학교, 칠보초등학교, 수곡초등학교 등 3개 교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