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033 |
---|---|
한자 | 英山初等學校 |
영어공식명칭 | Yeongsan Elementary School |
이칭/별칭 | 영산초,영산초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하북1길 217[하북동 151-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인가 시기/일시 | 1961년 4월 6일 - 북면국민학교 영산분교장 설립 인가 |
---|---|
개교 시기/일시 | 1962년 3월 3일![]() |
개칭 시기/일시 | 1964년 3월 3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5년 3월 9일 - 영산국민학교 병설 유치원 개원 |
개칭 시기/일시 | 1996년 3월 1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4년 3월 1일 - 영산초등학교 농어촌 어울림학교 지정 |
현 소재지 | 영산초등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하북1길 217[하북동 151-3]![]() |
성격 | 공립 초등학교 |
전화 | 063-531-0451[교무실]|063-533-4185[행정실] |
홈페이지 | https://school.jbedu.kr/0san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하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나다움을 꽃피우는 영산 교육’이라는 교육 철학 아래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어린이[바른 어린이],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창의적인 사고력을 키워 가는 어린이[창의적 어린이],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서 자기 진로를 개척하는 어린이[개척하는 어린이], 보건 체육 활동의 생활화로 몸과 마음이 강인한 어린이[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추구하는 학생상은 ‘스스로 공부하며 꿈과 행복을 가꾸는 학생’이다.
[변천]
영산초등학교는 1961년 4월 6일 북면국민학교[현 북면초등학교] 영산분교장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2년 3월 3일 개교하였다. 1964년 3월 3일 영산국민학교로 승격하였다. 1985년 3월 9일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영산국민학교에서 영산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4년 3월 1일 농어촌 어울림학교에 지정되었다.
[교육 활동]
영산초등학교는 ‘꿈을 현실로 만드는 미래 역량 계발’, ‘스스로 설 수 있는 삶의 힘 참 학력 신장’, ‘우리 모두를 위한 공동체 문화 역량’ 등에 중점을 둔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미래 역량 계발 교육은 드론·코딩·컴퓨터 교육 등을 실시하는 ‘미래를 준비하는 미래 역량 교육’과 진로 체험 학습과 소질을 계발하는 동아리 활동 등으로 진행하는 ‘미래 삶을 준비하는 진로 교육’ 등으로 추진하고 있다.
참 학력을 신장하기 위한 교육으로는 한글 책임 교육, 학습 더딤 학생을 위한 기초 학력 교실 운영, 학생 배움 중심 수업, 프로젝트 학습 등의 기초·기본 학습 프로그램과 독서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공동체 문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으로는 서로 존중하는 법을 배우는 인권 교육과 다양한 문화를 배우고 이해하는 다문화 교육 등의 민주 시민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환경 교육, 인성 교육, 영어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작곡 배동섭]
아침 햇살 동녘에 피어오르면/ 새 걸음 내어딛는 깃발 오른다/ 우리 모두 빛나는 슬기를 길러/ 높이자 그 이름 우리의 영산// 산과 들에 흙냄새 곱기도 하고/ 푸른 싹 푸른 꿈 잘도 자란다/ 우리 모두 가슴에 사랑을 심어/ 가꾸자 이 동산 우리의 영산/// 넓은 들 높은 하늘 바람도 맑고/ 뻗어 가는 나무들 우람하구나/ 달리며 뛰놀며 우리 몸 같이/ 나가자 힘차게 우리의 영산
2. 교목은 느티나무이다.
3. 교화는 철쭉이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총 6학급에 33명[남학생 15명, 여학생 18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7명 등 9명의 교원과 5명의 직원 등 총 14명이 재직하고 있다. 보통 교실 6실과 과학실, 컴퓨터실, 보건실, 상담실, 문서실, 다목적실[식생활관], 돌봄교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3년 1월 4일 제58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1,89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