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066 |
---|---|
한자 | 梨坪中學校 |
영어공식명칭 | Ipyeong Middle School |
이칭/별칭 | 이평중,이평중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후송길 21[창동리 463-10]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인가 시기/일시 | 1966년 12월 27일 - 학교법인 이평학원 설립 인가 |
---|---|
개교 시기/일시 | 1968년 3월 2일![]() |
현 소재지 | 이평중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후송길 21[창동리 463-10]![]() |
성격 | 사립 중학교 |
전화 | 063-534-1239[교무실]|063-534-1038[행정실] |
홈페이지 | https://school.jbedu.kr/ipyeong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이평면 창동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가고 싶은 학교 행복한 교육 공동체’라는 교육 비전 아래 창의적인 사람, 자주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 건강한 사람, 애국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변천]
1966년 12월 27일 학교법인 이평학원이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이평중학교는 1968년 3월 2일 개교하였다.
[교육 활동]
이평중학교는 노력 중점 사업으로 ‘체험 중심 동아리 프로그램 운영’과 ‘글로벌 시대를 선도하는 영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체험 중심 동아리 프로그램은 학생 요구를 반영한 동아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예술 감수성과 창의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우쿨렐레, 기타와 하모니, 책샘, 공예, 목공, 웹툰 등의 동아리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다.
글로벌 시대를 선도하는 영어 교육은 외국어 4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균형 있는 교육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고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하여 생활 중심의 영어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영어 체험 활동 기회 확대, 외국어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맞춤형 수업, 실용 외국어 중심 외국어 교육 과정 운영 등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통일 교육을 비롯하여 ‘전봉준 캠프’, ‘나라 사랑 캠프’, ‘독도 주간 활동’[독도 바로 알기 교육] 등을 진행하는 등 체험 중심 역사 교육 및 나라 사랑 체험 활동, 그리고 동영상 자료 등 미디어를 활용하여 역사 바로 알기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조동춘/ 작곡 임방명]
천태산 기슭에 있는 동산은/ 대자연 지리를 배우는 우리/ 동천에 밝은 해 떠오름 같이/ 힘차게 자라는 이평중학교// 태산과 바다도 삼킬 수 있는/ 늠름한 영웅이 자라는 우리/ 이 천지 이치를 배우는 우리/ 힘차게 자라는 이평중학교// 씩씩하여라 대한의 영웅/ 장하고 담대히 자라는 우리/ 하늘이 주시는 승리를 거두리/ 힘차게 자라는 이평중학교
2. 교목은 소나무이다. 젊음과 희망을 상징하며 소나무처럼 꿋꿋한 기상과 생명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뜻한다.
3. 교화는 철쭉이다. 자생력을 상징하며 자수성가형 인재 양성을 뜻한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총 3학급에 45명[남학생 45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사 10명 등 11명의 교원과 3명의 직원 등 총 14명이 재직하고 있다. 체육관, 도서실, 영어실, 과학실, 수학실, 예능실, 체육실, 멀티 미디어실, 학생자치회실, 상담실, 다목적실, 보건실, 급식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3년 2월 10일 제53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6,153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