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073 |
---|---|
한자 | 井邑第一高等學校 |
영어공식명칭 | Jeongup Jeil High School |
이칭/별칭 | 정읍제일고,정읍제일고교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52[수성동 44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권인탁 |
개교 시기/일시 | 1910년 5월 13일![]() |
---|---|
개칭 시기/일시 | 1911년 11월 1일![]() |
개칭 시기/일시 | 1923년 4월 30일![]() |
이전 시기/일시 | 1923년 4월 30일 - 정읍공립농업학교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중앙로2가 145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 443으로 이전 |
개칭 시기/일시 | 1947년 8월 12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51년 9월 1일 - 정읍농림중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 |
개칭 시기/일시 | 1951년 9월 1일![]() |
개칭 시기/일시 | 1988년 9월 28일![]() |
개칭 시기/일시 | 2003년 9월 1일![]() |
최초 설립지 | 군산공립실업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중앙로 91[중앙로2가 145] |
주소 변경 이력 | 정읍공립농업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52[수성동 443] |
현 소재지 | 정읍제일고등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52[수성동 443]![]() |
성격 |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
전화 | 063-530-1702[교무실]|063-530-1753[행정실] |
홈페이지 | https://school.jbedu.kr/jjh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을 갖추고 꿈을 설계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인화단결(人和團結)·지성근면(至誠勤勉)·독창연마(獨創硏磨)’이다.
[변천]
정읍제일고등학교는 1910년 5월 13일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중앙로2가 145의 공립 군산보통학교[현 군산중앙초등학교]에서 2년제 군산공립실업학교로 개교하였다. 1911년 11월 1일 군산공립실업학교에서 군산공립농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23년 4월 30일 군산공립농업학교에서 3년제 정읍공립농업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중앙로 91[중앙로2가 145]에서 정읍시 충정로 252[수성동 443]의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1947년 8월 12일 정읍공립농업학교에서 6년제 정읍농림중학교로 개편되었다. 1951년 9월 1일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되면서 1~3학년을 정읍중학교로 분리하고 정읍농림중학교에서 정읍농림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8년 9월 28일 정읍농림고등학교에서 정읍농공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3년 9월 1일 4차 산업 시대에 부응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학과를 자유롭게 개설하고자 정읍농공고등학교에서 정읍제일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육 활동]
정읍제일고등학교는 산업기계과, 바이오식품산업과, 기계과 등 3개 학과를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산업기계과는 경운기, 콤바인, 트랙터 등의 농업 기계와 굴삭기 등의 중장비 운전, 자동차 정비를 비롯한 각종 자격증 취득 등 21세기 농업의 미래를 이끌어 갈 첨단 기계 농업 경영인을 육성하기 위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바이오식품산업과는 식품 가공에 관한 기본 지식과 기술, 식품 공업 분야의 생산·계획·관리 등의 실무, 제과·제빵, 한식·양식 등 각종 기능 습득을 위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기계과는 컴퓨터 응용 선반, 컴퓨터 응용 밀링, 특수 용접, 3-D 금형 등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기능을 익히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함으로써 4차 산업에 준비된 기능 장인을 육성하기 위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정읍제일고등학교는 창의 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하여 직업 기초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전개,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필요한 역량 신장, 진로 선택을 위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색 사업으로는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인 ‘특성화고 미래 역량 강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성화고 미래 역량 강화 사업’은 디지털 이해 교육과 디지털 융합·활용 수업, 취업 캠프 등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성화고 미래 역량 강화 사업’은 첨단 산업 분야의 직업 역량을 강화하고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여 디지털 융합 역량을 가진 미래 기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추진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은상/ 작곡 박태준]
노령의 큰 산줄기 솟아 둘리고/ 호남의 넓은 벌판 기름도지다/ 거룩한 흙의 향기 몸에 두르고/ 이 나라 새 일꾼들 자라나는 곳/ 정읍제일고등학교 역사 오랜 집/ 빛나거라 평화 동산 사랑의 동산// 알아라 땅의 값이 얼마나 큰 줄/ 나날이 새 진리를 토파 내나니/ 보아라 억세구나 젊은이 모습/ 이 나라 개척하리 우리 손으로/ 정읍제일고등학교 역사 오랜 집/ 빛나거라 평화 동산 사랑의 동산
2. 교목은 은행나무이다. 살아가려는 의지가 굳고 바르게 성장하려는 은행나무의 자립 의지를 본받아 곧고 바르게 살아가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3. 교화는 개나리이다. 서로 함께 뭉쳐서 꽃밭을 이루는 개나리처럼 자기를 고집하기에 앞서 이웃을 생각하며 겸손하고 봉사하는 자세를 갖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총 11학급[특수 학급 2학급 포함]에 133명[남학생 129명, 여학생 4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산업기계과는 4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43명, 기계과는 3학급에 41명, 바이오식품산업과는 4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49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30명 등 32명의 교원과 11명의 직원 등 총 43명이 재직하고 있다.
건설기계실습동, 산업기계실습동, 농업기계실습동, 바이오식품실습동, 기계실습동, 농업정보실, 농업기초실습실, 목공실, 국어 ICT실, 수학 ICT실, 종합 ICT실, 어학실, 과학실, 음악실, 미술실, 도서실, 보건실, 역사실, 청운반, 역사관, 시청각실, 강당, 기숙사[11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3년 2월 11일 제110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1만 904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