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075
한자 培英高等學校
영어공식명칭 Baeyoung High School
이칭/별칭 배영고,배영고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243[흑암동 52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인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51년 6월 29일 - 학교법인 정읍배영학원 설립 인가
인가 시기/일시 1976년 12월 28일연표보기 - 배영종합고등학교 설립 인가
이전 시기/일시 1994년 6월 13일 - 배영고등학교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흑암동 520으로 신축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98년 9월 21일연표보기 - 배영종합고등학교에서 배영고등학교로 개칭
주소 변경 이력 배영종합고등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243[흑암동 520]
현 소재지 배영고등학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동학로 243[흑암동 520]지도보기
성격 사립 고등학교
설립자 김화섭
전화 063-533-4123[교무실]|063-533-4125[행정실]
홈페이지 https://school.jbedu.kr/baeyoung-h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흑암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건학 이념은 ‘자립(自立)’이며 교훈 또한 자립이다. 교육 목표는 ‘지덕체(智德體)를 겸비한 글로벌 인재 육성’이고, 학교 생활 목표는 ‘진실한 사람, 근면한 사람, 진취적인 사람, 정의로운 사람’이다.

[변천]

1951년 6월 29일 설립 인가를 받은 학교법인 정읍 배영학원[설립자 김화섭]이 1976년 12월 28일 배영종합고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보통과 2학급, 상업과 1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94년 6월 13일 정읍시 흑암동 520의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다. 1998년 9월 21일 배영종합고등학교에서 배영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교육 활동]

배영고등학교는 교과 특성을 반영한 교과 교실제 환경을 구성하고 학교 특색 맞춤형 교육 과정과 학생 참여형 수업으로 진행하는 ‘교과 교실제’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삶을 가꾸는 독서·글쓰기 교육’을 학교 자율 선택 과제로 선정하고 저자와의 만남-학력과 독서력을 증진할 수 있는 강연, 꿈을 위한 학급-대형 서점 탐방 및 진로 탐험 활동 등의 프로그램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학생의 적성과 필요에 따른 맞춤형 책임 교육으로 평등 교육을 실현하고 학습 지원 대상 학생의 학력 신장을 통하여 공교육 내실화 및 기초 학력 미달 학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두드림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두드림학교는 기초 학력 향상 수업, 자존감 향상 특강, 역경 극복 문화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진행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노영철/ 작곡 최동진]

노령산맥 줄기차게 뻗어 나리어/ 그 맑은 정기 타고 자라난 우리/ 희망은 불타올라 배움터 닦으니/ 장하도다 우리 배영 굳센 건아야/ 피 끓는 우리 정열 건설에 쏟아 놓고/ 배영의 생명 씨를 뿌려 길이길이 이으리// 몸과 마음 다 바쳐서 진리에 살고/ 사랑과 정으로써 빛나는 전통/ 어두운 이 세상을 두루 비치니/ 장하도다 우리 배영 굳센 건아야/ 피 끓는 우리 정열 건설에 쏟아 놓고/ 배영의 생명 씨를 뿌려 길이길이 이으리// 계명성은 이 동산에 새벽 고하고/ 양양한 우리 앞길 가슴 설레네/ 희망의 저 언덕에 꽃필 우리니/ 장하도다 우리 배영 굳센 건아야/ 피 끓는 우리 정열 건설에 쏟아 놓고/ 배영의 생명 씨를 뿌려 길이길이 이으리

2. 교목은 소나무이다. 가장 한국적이며 선비의 지조와 절개, 굳센 의지를 상징하는 사철 푸른 장수목(長壽木)인 소나무는 전통을 계승하고 미래를 창조하는 한국인상을 표상한다

3. 교화는 철쭉이다. 정열적이면서도 온화한 풍취를 자아내는 철쭉은 사랑과 헌신, 그리고 희망과 화합을 상징하는 꽃이며 더불어 살아가는 참다운 인간상을 표상한다.

[현황]

2023년 5월 현재 총 15학급에 307명[남학생 307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30명 등 32명의 교원과 13명의 직원 등 총 45명이 재직하고 있다. 과학실, 음악실, 미술실, 방송실, 컴퓨터실, 중국어실, 시청각실, 유도·체력단련실, 학생자치실, 들풀서재[도서관], 평심관·성오관[기숙사], 성계당[체육관], 보건실, 상담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3년 1월 6일 제44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1만 121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