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091 |
---|---|
한자 | 井邑市立中央圖書館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벚꽃로 511[상동 274-9]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준공 시기/일시 | 1990년 3월 30일 - 정주시립도서관 준공 |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90년 3월 30일![]() |
개칭 시기/일시 | 1995년 1월 1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9년 2월 20일 - 정읍시립도서관 동학문고 개설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3년 5월 30일 - 정읍시립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개실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6월 4일 - 정읍시립도서관 어린이도서실 개실 |
개칭 시기/일시 | 2014년 2월 19일![]()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7년 - 정읍시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주관 2017년 공공도서관 협력 업무 최우수 도서관으로 선정 |
최초 설립지 | 정주시립도서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4길 7[시기동 69-15]![]() |
주소 변경 이력 | 정읍시립중앙도서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벚꽃로 511[상동 274-9] |
현 소재지 | 정읍시립중앙도서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벚꽃로 511[상동 274-9]![]() |
성격 | 시립 도서관 |
면적 | 3,503㎡ |
전화 | 063-539-6444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상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건립 경위]
정읍시립중앙도서관은 21세기 지식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지식 정보와 문화 공간을 제공하여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건립하였다.
[변천]
1988년 미원그룹[현 대상] 임대홍 회장이 도서관 건립 성금으로 5억 원을 기탁하였다. 1989년 5월 17일 도서관 건립 기공식을 치렀고, 1990년 3월 30일 준공을 마치고 정주시립도서관이 개관하였다. 1995년 1월 1일 전국 도농통합에 따라 정주시가 정읍시로 출범하면서 정읍시립도서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9년 2월 20일 도서관 내에 동학농민혁명 관련 사료와 총서, 자료집 등으로 구성한 ‘동학문고’를 개설하였다. 2003년 5월 30일 디지털자료실, 2007년 6월 4일 어린이도서실을 개실하였다. 2014년 2월 19일 옛 상동정수장 부지에 도비와 시비 등 총 80억 원을 들여 도서관을 신축하고, 정읍시립중앙도서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개관하였다. 옛 정읍시립도서관은 2024년 현재 정읍시립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2017년 국립중앙도서관이 주관하는 2017년 공공 도서관 협력 업무 최우수 도서관으로 선정되었다.
[구성]
정읍시립중앙도서관은 지상 4층 건물이며, 연면적은 3,503㎡이다. 1층은 강당, 어린이도서관, 미래창작실, 2층은 종합자료실, 향토자료실, 디지털자료실, 정기간행물실, 3층은 열람실, 노트북실, 소열람실, 휴게실, 4층은 사무실, 보존 서고, 도서정리실, 문화교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람석은 총 602석이다.
1층의 어린이도서관에는 어린이 자료, 책놀이방, 유아방 등이 있다. 층별로 도서 검색용 컴퓨터와 무인 대출 반납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3층에 무인 좌석 발급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서관 외부에는 연중무휴로 운영하는 무인 대출 반납 시스템인 스마트도서관이 있다. 스마트도서관에는 신간 도서를 비롯하여 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 500권이 구비되어 있어 기기 내에 비치된 도서를 즉시 대출하고 반납할 수 있다.
[현황]
2022년 2월 기준 17만 8743권의 도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이 중 어린이 자료실의 도서는 4만 3317권이다. 정기간행물은 월간지 17종, 주간지 5종, 중앙지 8종, 지방지 11종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정읍시립중앙도서관은 방문이 어려운 지역민에게 도서 대출과 반납 편의를 돕기 위하여 월 1회 도서관 차량을 이용하여 행정복지센터, 주민센터, 병원, 요양원, 사회 복지 시설, 초등학교, 병영 등에 방문하는 이동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정읍시립중앙도서관은 2018년부터 매년 9월 독서의 달 행사로 책축제 ‘달빛소풍’을 개최하고 있으며, 북스타트, 책읽기 마라톤, 독서 문화 프로그램 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독서 문화 사업으로는 동화창작반, 캘리그라피, 웹툰반, 북큐레이터 자격증반, 초등책놀이지도사 자격증반, 우쿨렐레, 타로심리상담사 작격증반 등을 진행하고 있다. 2020년 ‘세상에 하나뿐인 그림책’ 전시회, 2021년 다문화가족 공예품 전시회 ‘한지랑 어울렁 더울렁’, 2022년 성인 독서 문화 프로그램 ‘봄날 그리고 벚꽃로 511’, 공연 ‘책 읽어 주는 마술사의 선물 상점’, 2023년 어린이들을 위한 참여형 국악 뮤지컬 공연 ‘하늘땅바다 도깨비’ 등 문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2023년 현재 관장 1명과 직원 14명이 근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