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1106 |
---|---|
한자 | 井邑學生福祉會館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구미길 14-4[수성동 450-2]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준공 시기/일시 | 1997년 12월 31일 - 정읍학생복지회관 준공 |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98년 4월 10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8년 7월 25일 - 정읍학생복지회관 수영장 개장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1년 3월 7일 - 정읍학생복지회관 정읍 지역 평생학습관으로 지정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4월 1월 2일 - 정읍학생복지회관 디지털 자료실 개실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21년 4월 15일 - 정읍학생복지회관 4차산업 체험 문화 공간 놀이터 개소 |
현 소재지 | 정읍학생복지회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구미길 14-4[수성동 450-2]![]() |
성격 | 복지 시설 |
면적 | 7,273.9㎡[부지 면적]|5,840㎡[연면적] |
전화 | 063-533-1875 |
홈페이지 | https://lib.jbe.go.kr/jshall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에 있는 교육 문화 시설.
[건립 경위]
정읍학생복지회관은 정읍교육지원청이 4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지역 청소년의 정서 순화와 교양 증진을 위하여 건립하였다.
[변천]
정읍학생복지회관은 1994년 12월 30일 착공하여 1997년 12월 31일 준공하였고, 1998년 4월 10일 개관하였다. 1998년 7월 25일 정읍학생복지회관 내 수영장을 개장하였다. 2001년 3월 7일 정읍 지역 평생학습관으로 지정되었다. 2004월 1월 2일 디지털 자료실을 오픈하였고, 2021년 4월 15일 4차 산업 체험 문화 공간 놀이터를 개소하였다.
[구성]
정읍학생복지회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이며, 건물 면적은 5,840㎡, 부지 면적은 7,273.9㎡이다. 지하 1층에는 평생교육실 1~3, 시청각실, 기계실 등이 있으며, 지상 1층에는 수영장, 샤워실, 탈의실, 검표실, 코치실 등이 있다. 2층에는 관장실, 관리부와 도서부 사무실, 종합 자료실, 모자 열람실 등이 있고, 3층에는 디지털 자료실, 열람실, 노트북실, 문화 교육실, 휴게실, 4차산업 체험 문화 공간 놀이터 등이 있다. 자료실과 열람실의 좌석 수는 총 325석이고, 디지털 자료실의 좌석 수는 총 24석이다. 수영장은 성인용 25m 6레인과 어린이용 12.5m의 풀장과 탈의실, 샤워실, 체온 조절실 등을 갖추고 있다.
[현황]
정읍학생복지회관은 도서관과 수영장, 평생교육 강좌를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뿐만 아니라 정읍 시민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문화 시설이다. 도서관에서는 겨울방학과 여름방학 기간 동안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 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도서관 주간 행사, 독서의 달, 독서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정읍학생복지회관 도서관은 2023년 6월 현재 8만 6299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아동 도서는 2만 3735권, 유아 도서는 5,331권이다. 비도서 자료는 1만 445점이다.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는 보드게임, 댄스교실, 창의미술, 칼림바 등의 방과 후 수업과 토요일 한자 수업이 있고, 유아 대상 프로그램으로는 책놀이 수업이 있다. 성인 대상 프로그램으로는 책놀이 지도사, 통기타 교실, 캘리그라피, 서화, 수채화, 북아트 지도사, 리본아트 수업 등이 있다. 2021년 개소한 4차 산업 체험 문화 공간 놀이터에서는 드론 놀이터와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놀이터, 학교 교과 과정과 연계한 코딩 실습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정읍학생복지회관은 관장 1명과 운영위원회, 관리부와 도서부로 조직되어 있다. 관리부는 부장 1명, 주무관 12명, 도서부는 부장 1명, 주무관 5명, 사회복무요원 1명이 근무하고 있다. 운영 주체는 정읍교육지원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