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문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122
한자 井邑文化
영어공식명칭 Jeongeup Culture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연속 간행물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조곡천1길 1[연지동 252-15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성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창간 시기/일시 1991년 12월연표보기 - 『정읍문화』 창간
소장처 정읍문화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조곡천1길 1[연지동 252-151]
제작|간행처 정읍문화원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조곡천1길 1[연지동 252-151]지도보기
성격 정기 간행물
창간인 정읍문화원
발행인 정읍문화원
판형 19㎝[가로]|26㎝[세로]
총호수 제31호[2022년 12월]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읍문화원에서 매년 발간하는 기관지.

[개설]

『정읍문화』정읍문화원에서 발간하는 기관지이다. 정읍시의 역사와 관련된 연구 논문, 칼럼 등을 비롯하여 1년 동안 정읍문화원이 진행한 사업 성과를 종합하여 활동 사진, 작품 등과 함께 수록하고 있다.

[창간 경위]

정읍문화원에서는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가요이자 한글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노래인 「정읍사(井邑詞)」,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정읍 무성서원(井邑 武城書院), 동학농민혁명 발상지 등 우수하고 유서 깊은 정읍의 역사·문화 정신을 계승하고 지역 주민들의 역사 인식을 높이는 등 문화생활에 기여하기 위하여 『정읍문화』를 간행하였다. 아울러 전국의 정읍 출신 인사들에게 고향 소식을 전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도 함께 하고 있다.

[형태]

『정읍문화』의 판형은 가로 19㎝, 세로 26㎝이며, 200쪽 내외이다.

[구성/내용]

『정읍문화』는 우수하고 유서 깊은 정읍의 역사·문화 정신을 계승한다는 발간 목적 아래 정읍을 주제로 한 논문, 칼럼, 시, 수필, 화보 등 다양한 내용을 싣고 있으며, 매년 12월 발간하고 있다. 정읍문화원 1년 주요 추진 사업을 정리하여 활동 사진과 함께 화보로 싣고 있다. 또한 정읍의 아름다운 풍경, 문화재 이미지, 정읍을 소재로 한 역사, 문화 관련 논문, 정읍문화원 활동 참여 수기, 정읍시 작가들의 작품을 싣는 ‘정읍 문단’, 정읍문화원에서 진행하는 전국 한시 공모전 입상작, 정읍문화원 신간 안내, 정읍시 문화 소식을 싣고 있다.

[변천과 현황]

『정읍문화』는 1991년 12월 창간호를 시작으로 하여 2022년 12월 제31호를 발간하였다. 창간 초기에는 문화원 행사 소식과 정읍 문단, 정읍 전설 등 내용을 담았다. 점차 정읍문화원이 다양한 문화 사업을 전개하면서 1년 동안 문화원 활동을 시민들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정읍의 다양한 역사·문화 내용을 담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정읍문화원 기관지 『정읍문화』 발간을 통하여 정읍의 우수한 역사·문화의 체계적인 연구와 활용, 지역사 연구가의 연구 의욕 촉진 매개체로서 정읍의 우수한 역사·문화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정읍 시민 및 출향 인사들에게 지역 관련 소식을 제공하여 공동체 구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특히 1962년 설립 이래 정읍 역사·문화 발전을 위하여 노력하는 정읍문화원의 활동을 널리 홍보하고, 정읍문화원 사업에 대한 지역민들의 인식을 환기시키고 관심을 높이는 데 일조하고 있다.

[참고문헌]
  • 『정읍문화』 1·30·31(정읍문화원, 1991·2021·2022)
  • 정읍문화원(http://jeculture.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