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농악보존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197
한자 井邑農樂保存會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읍사로 498-9[시기동 83-1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창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92년연표보기 - 정읍우도농악보존회 설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6년 3월 29일 - 정읍농악보존회 상쇠 유지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2호 지정
개칭 시기/일시 1996년 10월 20일연표보기 - 정읍우도농악보존회에서 호남우도정읍농악보존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14년 9월 19일연표보기 - 호남우도정읍농악보존회에서 정읍농악보존회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정읍농악보존회 상쇠 유지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1월 18일 - 정읍농악보존회 상쇠 유지화 전북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변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정읍농악보존회 상쇠 유지화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으로 변경
현 소재지 정읍농악보존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정읍사로 498-9[시기동 83-10]지도보기
성격 예술 단체
홈페이지 http://www.jeongeup-nongak.co.kr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동에 있는 정읍농악 보존·공연 단체

[설립 목적]

정읍농악보존회는 전북특별자치도 무형 문화재 정읍농악을 보존·전승하고 호남 우도 농악의 종가인 정읍농악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 전통 예술인 농악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정읍농악보존회는 1992년 정읍우도농악보존회로 설립되었다. 1996년 10월 20일 호남우도정읍농악보존회로 개칭하였고, 이후 2014년 9월 19일 정읍농악보존회로 단체명을 다시 변경하였다.

1996년 3월 29일 상쇠 유지화가 전북특별자치도 무형 문화재 제7-2호로 지정되었고, 1996년 5월 23일 유지화가 소속된 정읍우도농악보존회가 전북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보유 단체로 지정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정읍농악보존회의 주요 사업은 정읍농악의 보존, 전승, 교육이다. 2014년 제40회 전주대사습놀이 농악부 장원, 2011년 제13회 김제지평선전국농악경연대회 대상, 2010년 제10회 안성바우덕이전국풍물경연대회 대상, 2009년 제16회 임방울국악제 전국농악경연대회 대상 등을 수상하며, 예술성과 기량을 인정받고 있다.

[현황]

정읍농악보존회는 2023년 현재 정회원 74인, 명예회원 2인, 준회원 5인이 활동하고 있으며, 매년 정기 발표회를 갖고 있다. 매월 정기 모임과 매주 회원 연습과 정기 강습회를 추진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정읍농악보존회정읍농악의 원형 보존, 전승, 교육에 기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