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석 받고 죽은 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232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매정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세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1년 - 「입석 받고 죽은 소」 『정읍의 전설』에 수록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1년 9월 25일 - 「입석 받고 죽은 소」 『정읍의 전설』 증보판에 수록
관련 지명 내동마을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매정리 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소|마을 사람들
모티프 유형 금기담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옹동면 매정리에서 입석을 들이받고 죽은 소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입석 받고 죽은 소」는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나무에 아래 서 있는 입석(立石)을 실수로 들이받은 소가 온몸이 오므라들어 죽게 되었다는 설화이다. 마을에서 소중하게 지키는 입석을 뿔로 들이받았다가 비참하게 죽어 버린 소를 통하여 금기를 어기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심어 주기 위한 마을 사람들의 통치 기제이기도 하다.

[채록/수집 상황]

「입석 받고 죽은 소」는 정읍 출신 시인이자 수필가인 김동필(金東必)[1939~2006]이 1989년 채록하기 시작하여 1991년에 간행한 『정읍의 전설』에 수록되었고, 2001년 9월 25일 간행한 『정읍의 전설』 증보판에도 수록되었다.

[내용]

정읍시 옹동면 매정리 내동마을에는 당산나무 한 그루가 있는데, 나무 아래에 입석이 하나 우뚝 서 있다. 어느 날 뙤약볕에서 밭을 갈던 소가 잠시 쉬는 동안 뿔로 당산나무 아래에 있던 입석을 들이받고 말았다. 입석을 들이받은 소는 몸을 떨다가 며칠 뒤에는 네 발이 오므라지더니 끝내는 혓바닥까지 말려들어 죽고 말았다.

내동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1월 6일 당산제(堂山祭)를 지내고 있다. 수호신에게 연중 무병과 풍년을 기원하는 것인데, 동제(洞祭) 혹은 당산나무 아래서 지낸다고 하여 당산제라 부르고 있다. 당산나무 아래 입석을 당산신의 몸체로 알고 제사를 지내는데, 이때 지켜야 할 불문율이 많다. 제사 음식은 가장 정갈한 집을 택하여 한 집에서만 장만하고, 우물을 덮개로 튼튼히 덮어 제수를 장만하는 집만 쓸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우물을 들여다보는 일은 크게 부정을 탄다고 하여 금기로 되어 있다. 또한 주민들은 음력 1월 4일부터 음력 1월 6일 아침까지는 어떤 고기든 먹지 않는다. 제사를 지내기 며칠 전부터는 줄을 쳐 놓고 외부 손님이 드나드는 것을 막고 있으며, 미리 와 있던 손님은 동네 당산제가 끝난 후에 떠나도록 권고하고 있다.

내동마을 당산제의 특이한 점은 모든 동네 주민뿐만 아니라 가축까지도 참석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주민들은 자신들이 키우는 소, 돼지, 말, 염소 등을 끌고 와서 집안이 무병하고 동네가 편안하게 하여 달라고 간절히 빈다. 만약에 짐승 한 마리라도 집에 남게 되면 옛날 당산나무 아래서 입석을 들이받고 오그라져 죽은 소처럼 집에 남은 가축도 발과 혀가 오그라져 죽고 만다는 전설을 믿기 때문이다. 수호신의 몸통인 입석을 귀하게 여기며, 엄격한 금기를 통하여 마을의 단합과 공동체의 협력을 도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티프 분석]

「입석 받고 죽은 소」의 모티프는 ‘금기담’이다. 금하고 꺼려하는 행동을 하여 하늘이나 초자연적인 대상에게 벌을 받는 금기담 모티프는 광포하게 전한다. 「입석 받고 죽은 소」에서는 농경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가축인 소가 금기를 어긴다. 마을에서 신성시하는 입석을 들이받고 벌을 받아 죽은 소의 이야기를 통하여 금기를 어기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내동마을의 건강과 안녕을 바라는 마을 사람들의 바람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