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매는 소리」[배꽃타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245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1년 2월 - 「논매는 소리」[배꽃타령] 김복기, 김영석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논매는 소리」[배꽃타령] 『한국민요대전』 전라북도 민요 해설집에 수록
채록지 태흥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 지도보기
성격 민요
형식 구분 선후창
가창자/시연자 김복기|김영석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논맬 때 부르는 민요.

[개설]

「논매는 소리」[배꽃타령]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논맬 때 부르는 노래로 전승되었다.

[채록/수집 상황]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전승되는 「논매는 소리」[배꽃타령]는 1991년 2월 MBC문화방송에서 『한국민요대전』 전라북도 편을 제작하기 위하여 채록하였다. 당시 앞소리를 가창한 주민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의 김복기[남, 72세], 김영석[남, 68세]이다. 김복기는 「논매는 소리」[배꽃타령]을 동네 어른들에게 배웠다고 한다. 「논매는 소리」[배꽃타령]는 1995년에 1월 1일에 발행한 전라북도 민요 해설집과 CD에 수록되었다.

[구성 및 형식]

정읍시에서 전승되는 「논매는 소리」[배꽃타령]는 앞소리와 뒷소리[후렴]가 있는 선후창 형식의 논농사 민요이다. 「논매는 소리」[배꽃타령]를 가창할 때 한 사람이 먼저 앞소리를 내면 사설을 아는 사람들도 앞소리 가창에 동참한다. 뒷소리는 다 함께 부르는 제창이다. 장단은 불규칙하지만 통상 중중모리장단 정도의 빠르기로 부른다.

「논매는 소리」[배꽃타령]는 본래 조선 후기 전국을 다니며 연희한 사당패들이 부른 노래이다. 발생을 두고는 사당패 소리와 황해도 민요 사이에 선후 문제는 있지만 황해도 지역에서는 길군악처럼 행진할 때 부르기 때문에 ‘길소리’라고 한다. 「논매는 소리」[배꽃타령]는 나중에 마을이나 지역에 따라 논농사 때 부르는 향토 민요로 정착하였다. 전북특별자치도에서는 정읍시 외에도 임실군 삼계면과 순창군, 장수군에서 조사되었으며, 그 밖에 전라남도 신안군과 곡성군, 경상남도 남해군에서도 채록되었다.

[내용]

[앞소리]

배꽃일레 배꽃일레 정실로 배나무야 정실로 배나무야/ 아그밴가 독밴가 배꽃일레 배꽃일레

연꽃일레 연꽃일레 방죽으나 주아미 방죽으나 주아미/ 방죽으나 방죽으나 연꽃일레 연꽃일레

말 잘 탄다 말 잘 탄다 북도라 마병들이 북도라 마병들이/ 마병 녀석들이 말 잘 탄다 말 잘 탄다

활 잘 쏜다 활 잘 쏜다 전주라 한량들이 전주라 한량들이/ 한량 양반들이 활 잘 쏜다 활 잘 쏜다

연 잘 띄네 연 잘 띄네 서울이라 무학자들 서울이라 무학자들/ 무학자 양반들이 연 잘 띄네 연 잘 띄네

[뒷소리]

얼씨구나 야야 절씨구나 야야/ 어얼싸 저얼싸 좀이나 좋던가 보더라/ 흥그렁 당실 절씨구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정읍시에 전승되는 향토 민요 「논매는 소리」[배꽃타령]는 장원례 놀이 때 주로 불렀다. 장원례는 두레꾼들이 마지막 논매기인 ‘만두레’를 끝내고 동네로 행군하는 놀이를 말한다. 농사에 장원하였기에 축하와 여흥을 즐긴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때 논 주인이나 상머슴을 사다리나 소에 태우고, 풍장을 치면서 마을로 행진한다. 마을에 당도한 두레꾼들이 부잣집이나 농사가 잘된 집으로 쳐들어가면 닭을 잡아 닭죽과 술을 제공한다.

[현황]

정읍 지역의 논농사 민요는 1970년대에 대부분 소멸되었다. 「논매는 소리」는 제초제 보급과 직결되면서 소멸되었다.

[의의와 평가]

정읍시에 전승되는 향토 민요 「논매는 소리」[배꽃타령]는 본래 사당패 소리, 황해도 민요로 알려져 있지만, 논농사 때 부르는 향토 민요로 정착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