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칭이 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271
이칭/별칭 「쾌지나칭칭」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승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5년 5월 12일 - 「칭칭이 노래」 최종희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7년 4월 30일 - 「칭칭이 노래」 『한국구비문학대계』5-6에 수록
채록지 대흥리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대흥리 지도보기
가창권역 정읍시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성격 유희요
형식 구분 독창
가창자/시연자 최종희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전승되는 가창 유희요.

[개설]

「칭칭이 노래」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전승되는 가창 유희요이다. 경상도 지역에서 「쾌지나칭칭」으로 널리 알려진 농사 뒤풀이 소리가 정읍 지역에 유희요로 전하여진 것이다. 후렴에 “쾌지나칭칭나네”라는 노랫말이 반복되며 흥겨운 분위기를 돋운다.

[채록/수집 상황]

「칭칭이 노래」는 1985년 5월 12일 박순호, 김윤석, 박현국이 정읍시 입암면 대흥리에서 최종희[남, 69세]에게 채록하였다. 1987년 4월 30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 5-6 전라북도 정주시·정읍군 편에 수록하였으며, 한국구비문학대계 웹사이트에서 가사와 음원을 제공하고 있다.

[구성 및 형식]

「칭칭이 노래」는 “쾌지나칭칭나네”가 후렴구로 반복된다. 경상도에서는 선후창 방식으로 부르는 농요이지만, 정읍시 입암면 대흥리에서 채록된 「칭칭이 노래」는 한 사람이 숫자풀이 사설에 “쾌지나칭칭나네”라는 후렴을 붙여서 독창으로 부른다.

[내용]

쾌지나칭칭나네/ 노자노자 젊어 노자 쾌지나칭칭나네/ 늙어지면 못 노나니 쾌지나칭칭나네/ 일자낱을 딱 붙치니 쾌지나칭칭나네/ 일자로 아뢰리라 쾌지나칭칭나네/ 일편석 우리 군자 쾌지나칭칭나네/ 이자낱을 딱 붙치니 쾌지나칭칭나네/ 이자를 아뢰리다 쾌지나칭칭나네/ 이월허두 맺은 가약 쾌지나칭칭나네/ 이성지에 부모 선영이 쾌지나칭칭나네

[의의와 평가]

정읍시 입암면 대흥리에서 채록된 「칭칭이 노래」는 심심풀이로 부르는 가창 유희요이다. 경상도 민요 「쾌지나칭칭」이 전라도에 전파되면서 숫자풀이와 결합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