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조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291
한자 吉兆語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승익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 사람들이 이로움과 복을 가져오는 좋은 징조라고 여기는 말.

[개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 지역에서 전승되는 길조어는 사람들이 좋은 징조라고 믿는 관습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길조어는 어떠한 행동을 하여야 우리의 삶에 이로움과 복과 같은 긍정적인 일들이 생기는지 이야기한다. 주로 “무엇을 하여야 복을 받는다. 이렇게 하면 재수가 있다”와 같은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무엇을 하면 어떠한 좋은 일이 있다”처럼 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금기어와 마찬가지로 길조어는 정읍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사람들의 입을 통하여 대대로 전하여 내려온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연유에서 생겼는지 유래를 알기는 어렵다. 그래서 근래에는 길조어를 일종의 ‘미신’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커졌다. 그러나 길조어에는 오랜 세월 정읍 지역에서 살아온 조상들의 경험과 지혜, 해학이 담겨 있다. 자신과 자신의 후손들이 건강하고 무탈하게 살아가기를 바랐던 선조들의 기원이 길조어 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것이다. 즉, 길조어는 정읍 지역의 문화는 물론 역사 및 관습까지도 반영되어 있는 귀한 자료인 셈이다.

[정읍 지역의 길조어]

1. 절기 관련 길조어

-2월 초하룻날 콩을 볶으면 노래기가 없어진다.

-삼짇날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이 소담하고 아름답게 된다.

-삼짇날 노랑나비와 호랑나비를 먼저 보면 소원이 이루어진다.

-단옷날 이른 아침에 쑥을 베어다 문 옆에 세워 두면 모든 액을 물리친다.

-유두일에 맑은 개울을 찾아가서 목욕하면 상서롭지 못한 것을 쫓고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

-유두일에 국수를 먹으면 장수하고 더위에 걸리지 않는다.

2. 생김새 관련 길조어

-귀가 크고 귓밥이 크면 명이 길다.

-눈썹 등에 유독 긴 털이 난 사람은 높은 사람이 된다.

-엄지발가락이 검지발가락보다 길면 아버지가 오래 산다.

-인중이 길면 명이 길다.

-코가 크면 처복이 있다.

3. 행위 관련 길조어

-국수를 좋아하면 명이 길다.

-된밥을 좋아하면 오래 산다.

-뜨거운 것을 잘 먹으면 인덕이 있다.

-머리 위로 손을 올리고 자면 애국자이다.

-밥숟갈은 크게 떠야 복이 있다.

-아이가 끄나풀을 목에 걸고 다니면 터 판다[동생을 본다].

-아이가 물건을 머리에 이고 다니면 터 판다[동생을 본다].

-이사 와서 팥죽 쑤어 먹어야 액운을 막는다.

-제비 알을 주워서 제비 집에 넣어 주면 복을 받는다.

-중매 세 번 하면 죽어서 천국에 간다.

4. 일상 관련 길조어

-길을 가다 상여 나가는 걸 보면 재수가 좋다.

-가뭄 때 개미 떼가 열을 지어 가면 비가 온다.

-마당을 쓸 때 집 안으로 쓸어야 복이 집 안으로 들어온다.

5. 상황 관련 길조어

-가족 중 각성바지[어머니, 아들, 며느리] 세 명이 같은 달에 생일이 있으면 부자가 된다.

-다리 많은 벌레[돈벌레]가 방 안에 들어오면 돈이 들어온다.

-산 사람이 죽었다고 소문나면 명이 길다.

-이른 봄에 호랑나비를 먼저 보면 신수가 좋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