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재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318
한자 陽齋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영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76년연표보기 - 『양재집』 간행
소장처 고려대학교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안암동5가 1-2]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60-1]
성격 고도서|문집
저자 권순명
편자 권용화
권책 22권 11책
규격 19.5㎝[가로]|29.5㎝[세로]
어미 상흑어미

[정의]

1976년에 간행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출신 유학자 권순명의 문집.

[저자]

권순명(權純命)[1891~1974]은 본관은 안동, 자는 고경(顧卿), 호는 양재(陽齋)이며, 아버지는 권원(權源)이고, 어머니는 강릉 유씨(江陵 劉氏)로 유종갑(劉鍾甲)의 딸이다. 간재 전우(田愚)의 문인이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스승 전우를 따라 서해의 고군산도(古群山島), 왕등도(旺嶝島), 계화도(繼華島) 등지에서 16년 동안 학문에 몰두하여 훈재(薰齋) 김종희(金鍾熙), 현곡(玄谷) 유영선(柳永善)과 더불어 간재 전우 문하의 핵심 3인물이라는 뜻의 ‘화도삼주석(華島三柱石)’이라고 불렸다. 스승의 문집(文集)·예설(禮說)·연보(年譜)·척독(尺牘) 등을 편집, 출간하였으며, 1937년 47세 때 척독을 편집하기 위해서 전국 팔도에 통문을 발송한 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붙잡혔다. 일본 경찰에 붙잡혔을 당시 삭발을 강요당하자 장도를 가지고 스스로 목을 찔러 피가 낭자하였으므로 풀려났다. 경학(經學)·예설(禮說)·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유학의 진흥을 위하여 면학당을 세워 후진들을 양성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영원면의 태산사(台山祠)에 배향되었으며, 저서로는 『양재집(陽齋集)』 11책이 남아 있다.

[편찬/간행 경위]

권순명 서거 1년 후인 1975년에 유집(遺集) 11권을 발간하였으며, 1976년 아들 권용화(權容和) 및 문인 등이 편집하여 『양재집』을 간행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서지]

『양재집』은 22권 11책으로 된 신연활자본이다. 책 크기는 가로 19.5㎝, 세로 29.5㎝이다.

[구성/내용]

『양재집』은 사촌 동생인 권택수(權宅洙)가 가장(家狀)을 썼으며, 문인인 이백순(李栢淳)이 행장(行狀)을 저술하였다. 서(序)와 발(跋)은 없다.

권1~권7에 서(書) 644편이 있는데, 이 가운데 간재 전우에게 올린 서간문인 「상간재선생(上艮齋先生)」 27편이 있다. 권8~권10에는 잡저(雜著) 63편, 서(序) 95편, 기(記) 62편, 권11에 제발(題跋) 48편, 명(銘) 45편, 잠(箴) 2편, 찬(贊) 19편, 자사(字辭) 12편, 혼서(婚書) 3편, 고축(告祝) 27편이 있다. 권12과 권13에는 제문(祭文) 61편, 상량문(上樑文) 9편, 비(碑) 83편, 묘지명(墓誌銘) 10편, 권14~권18에 묘갈명(墓碣銘) 286편, 권19에 묘표(墓表) 82편, 권20에 행장 34편, 유사(遺事) 1편, 전(傳) 8편, 권21에 부(賦) 3편, 시(詩) 481수, 권22에는 추록(追錄)으로 서(書) 12편, 서(序) 4편, 기 8편, 제발 2편, 명(銘)·묘지명·묘갈명·행장·전(傳)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서간문과 묘갈명 등의 문이 많은 편이지만, 시도 481수가 실려 있어 권순명의 문학적 역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권순명의 문집 『양재집』에는 644편의 편지와 481수의 한시가 실려 있다. 편지를 통하여 정읍시와 주변 지역 인물들의 정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 시에서는 주로 자연, 하늘, 산수, 독서, 은둔, 기행(紀行) 등을 통하여 선비의 기상과 음풍농월(吟風弄月)의 풍류(風流)를 읊고 있는데, 권순명의 시 세계를 통하여 정읍시의 자연 생태를 알 수 있다. 『양재집』은 당시 지역 사회상을 비롯하여 스승과의 관계, 성리설에 관한 관점, 근현대 한문학의 전개 과정, 권순명의 문학 세계를 등을 종합적으로 엿볼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 권순명, 『양재집』(여강출판사, 1988)
  •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https://library.korea.ac.kr)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https://jbnu.ac.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