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우헌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319
한자 『不憂軒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영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786년연표보기 - 『불우헌집』 초간본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69년 - 『불우헌집』 중간본 간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60-1]
성격 고도서|문집
저자 정극인
편자 황윤석
간행자 정효목[초간본]|정팔성[중간본]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18.3㎝[가로]|29.9㎝[세로]
어미 상하향백어미

[정의]

1786년에 간행된 조선 전기 정읍에서 활동한 문인 정극인의 문집.

[저자]

정극인(丁克仁)[1401~1481]은 경기도 광주(廣州) 출신으로 본관은 영광이며 자는 가택(可宅), 호는 불우헌(不憂軒)·다헌(茶軒)·다각(茶角)이다. 아버지는 진사 정곤(丁坤)으로 알려졌는데 『국조방목(國朝榜目)』에는 정인(丁寅)의 아들로 되어 있다. 1437년(세종 19) 세종이 흥천사(興天寺)를 중건하기 위하여 토목 공사를 일으키자 태학생(太學生)을 이끌고 부당함을 항소하다가 왕의 진노를 사 북도(北道)로 귀양을 갔다. 그 뒤 풀려나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泰仁面)에 집을 짓고 ‘불우헌’이라고 하였다. 불우헌 앞 비수천(泌水川) 주변에 송죽을 심고, 향리의 자제들을 모아 가르치는 한편으로 향약(鄕約) 계축(契軸)을 만들어 향리의 교화에 힘썼다. 저서에 『불우헌집(不憂軒集)』이 있는데 여기에 「불우헌가(不憂軒歌)」, 「상춘곡(賞春曲)」 등 국문 가곡이 실려 있다.

[편찬/간행 경위]

『불우헌집』 초간본은 1786년에 정효목에 의하여 활자본으로 간행되었고, 중간본은 1969년 18대 손자 정팔성이 석인본으로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서지]

1786년에 간행된 『불우헌집』은 2권 1책 65장이다. 각 면(面)은 10행 20자로 된 금속 활자본으로 책 크기는 가로 18.3㎝, 세로 29.9㎝이다.

[구성/내용]

『불우헌집』은 2권 1책으로 황경원(黃景源)·황윤석(黃胤錫)의 서문과 권말에 정내동(丁來東)·정팔성(丁八聲)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개몽음(開蒙吟)」 외에 35제(題) 58수가 실려 있고, 다른 사람이 정극인에게 차운(次韻)하거나 봉정(奉呈)한 시 34수가 섞여 실려 있다. 정극인의 시들은 대체로 절구(絶句)와 율시(律詩)가 주를 이루고 있고, 간혹 고시(古詩)가 있지만 형식적인 분류 체계에 따라 편집되어 있지는 않다.

권2에는 문(文)과 가곡(歌曲)이 실려 있다. 문에는 소(疏) 3편, 자손계(子孫誡) 1편, 학령(學令) 1편, 불우헌기(不憂軒記) 1편, 동중향음주서(洞中鄕飮酒序) 1편, 가(歌) 1편, 곡(曲) 2편이 실려 있다. 부록으로 권수에 정극인의 유묵(遺墨) 및 묘산도(墓山圖)·신도비도(神道碑圖)·묘갈도·무성서원도(武城書院圖)·영모재도(永慕齋圖) 등이 있으며, 묘갈명·행장·가장·신도비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곡(歌曲)에는 「불우헌가」, 「불우헌곡(不憂軒曲)」, 「상춘곡」이 실려 있는데, 「불우헌가」와 「상춘곡」은 국한문 혼용이며 「불우헌곡」은 순한문으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정극인은 세계문화유산 정읍 무성서원의 대표적인 배향 인물이며, 보물로 지정된 태인 고현동 향약을 마련하는 등 정읍을 상징하는 인물 중 한 명이다. 또한 정극인『불우헌집』에는 조선 초기의 정치, 경제, 교육, 문학, 향촌 풍속 등의 연구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이 다양하게 실려 있다. 특히 『불우헌집』 권2 가곡 편에 실려 있는 「상춘곡」은 우리나라 가사 문학의 백미로, 국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따라서 『불우헌집』은 정읍의 향토 문화와 지역 문화 연구뿐만 아니라 국문학사에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 『향토문화유산 자료 조사』 (정읍문화원, 2019)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 국립중앙박물관(https://www.museum.go.kr)
  •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