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025 |
---|---|
한자 | 地形 |
영어공식명칭 | Topography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성욱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의 산지와 수계 등의 지형 조건.
[개설]
정읍 지역은 노령산맥이 통과하는 동부와 남부는 산지 지역이고, 서부는 두승산을 중심으로 낮은 산지 지역이 나타나며, 동쪽에서부터 동진강, 정읍천, 고부천이 흘러 구릉지와 충적 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지형에 의한 지역 구분]
정읍시의 동부와 남부는 노령산맥의 일부 지역으로, 동부 산지 지역에는 500~600m급의 산지가 이어지고, 남부 산지 지역에는 700m급의 산지가 이어지고 있다. 서부에는 두승산을 중심으로 동부보다는 낮은 산지가 남북으로 이어져 있다. 전체적으로는 동부 산지가 서부 산지보다 고도가 높아 동고서저의 지형을 보이고, 남북으로는 남고북저의 지형을 보인다. 이러한 지형 조건 때문에 하천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흐른다.
정읍 지역의 주요 하천인 동진강, 정읍천, 고부천 유역에는 하천에 의한 충적 평야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평면의 배들[이평평야]이 가장 대표적이다. 특히 동진강과 정읍천이 합류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평야지가 넓게 펼쳐져 있다. 남북으로 뻗은 두승산 산지와 부안군 구릉지 사이 고부천을 따라 충적 평야가 발달하여 있다. 특히 충적 평야는 정읍의 북쪽 지역에서 발달하였다.
정읍 지역 내부는 동진강 유역, 정읍천 유역, 고부천 유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동진강 유역은 산외면, 산내면, 옹동면, 칠보면, 태인면, 신태인읍 등 5개 읍면 지역이다. 정읍천 유역은 북면, 정우면, 덕천면, 이평면 등 4개 면 지역이다. 고부천 유역은 영원면과 고부면, 소성면 등 3개 면 지역이다. 그리고 북쪽의 감곡면은 북쪽으로 물이 흐르는 원평천 수계에 속한다.
동부와 남부 및 서부의 산지와 동진강, 정읍천, 고부천의 충적지 사이에는 풍화에 의한 50m 내외의 구릉지가 넓게 분포한다. 마을들은 구릉지에 위치하고, 하천 유역의 평야 지역을 농경지로 활용하고 있다. 태인면, 신태인읍, 덕천면, 정우면, 이평면 등 북쪽 지역이 평야의 비중이 높다.
[산줄기와 수계 구분]
정읍시의 동남부 지역은 산줄기의 흐름으로는 호남정맥에 해당하는데, 호남정맥은 진안군 주화산에서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산, 국사봉, 망덕산까지 이르는 산줄기이다. 호남정맥은 진안군 주화산에서 금남정맥과 분리되어 곰티, 슬치, 갈미봉, 경각산, 불재, 완주군 구이면 오봉산, 정읍의 묵방산으로 이어진다. 정읍 지역에서 호남정맥은 오봉산에서 묵방산, 성옥산, 왕자산, 구절재, 굴재, 고당산, 개운치, 망대봉, 추령, 유근이재, 장군봉, 연자봉, 내장산, 까치봉, 백암산으로 이어진다.
노령산맥의 일부인 정읍 동남부를 이루는 산줄기는 거의 대부분 묵방산에서 백암산 구간에서는 호남정맥과 일치하지만, 묵방산 북쪽은 국사봉에서 모악산으로 이어지는 모악지맥의 일부를 이루고, 남부에서는 까치봉에서 삼성산, 입암산, 노령, 방장산으로 이어지는 영산기맥의 산줄기이다. 즉, 정읍 지역 동남부의 산줄기는 호남정맥, 모악지맥, 영산기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읍 지역은 동남부의 호남정맥, 모악지맥, 영산기맥의 산줄기와 함께, 서쪽 방향으로 많은 지맥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산줄기의 방향에 의하여 정읍 지역의 하천은 동진강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정읍천, 고부천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고 있다. 정읍 지역 주요 3개 하천인 동진강, 정읍천, 고부천의 수계는 동쪽에 위치하는 묵방산 북쪽의 국사봉에서 서쪽 방향으로 이어지는 지맥인 상두산에서 천아산, 백산, 승방산, 명금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김제와 정읍의 경계를 이루며, 북쪽의 원평천과 남쪽 옹동면, 태인면, 신태인읍의 동진강 수계의 분수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고당산에서 서북쪽으로 분기되는 지맥인 고당산, 칠보산, 마태봉, 바둑이산, 덕재산, 정우면 정토산으로 이어지는데, 동쪽의 동진강 수계와 서쪽의 정읍천 수계를 구분하는 분수계이다.
정읍 남쪽 방장산에서 북쪽 방향으로 방장산, 옥녀봉, 비룡산, 국사봉, 태봉, 두승산, 천태산, 부안군 백산면 백산으로 이어지는 두승지맥을 경계로 동쪽은 정읍천 수계, 서쪽은 고부천 수계로 나뉜다. 이와 같이 정읍 지역은 동부의 국사봉, 묵방산, 백암산의 산줄기를 경계로 동쪽의 섬진강 수계와 서쪽 정읍 지역의 동진강 수계가 구분되며, 남쪽의 백암산, 방장산의 산줄기를 경계로 남쪽의 영산강 수계와 북쪽 정읍 지역의 동진강 수계로 구분된다.
또한, 정읍 지역 내부에서는 북쪽의 국사봉, 명금산 산줄기와 남쪽의 고당산, 정토산 산줄기에 의하여 동진강 수계와 서쪽의 정읍천 수계가 나뉜다. 그리고 방장산, 백산의 두승지맥을 경계로 동쪽은 정읍천 수계, 서쪽은 고부천 수계로 나뉜다. 정읍의 가운데에 해당하는 정읍천 유역은 동쪽의 고당산, 정토산 산줄기와 서쪽의 방장산, 백산의 두승지맥 사이 지역으로, 동쪽에서부터 한교천, 정읍천, 용산천, 천원천, 덕천천 등의 지류가 북쪽 방향으로 흐른다. 정읍천 수계 내부에서 정읍시 중심부로 향하는 망해봉, 장군봉, 애산, 초산, 죽지봉의 산줄기는 동쪽의 정읍천과 서쪽의 용산천의 수역을 구분하고 있다. 또한, 입암산, 오봉산, 옥녀봉의 산줄기는 동쪽의 용산천과 서쪽의 천원천의 수계를 구분하고 있다. 칠보산에서 서쪽으로 분기한 산줄기인 성황산, 월명봉, 시루봉 산줄기는 동쪽의 한교천과 서쪽의 정읍천의 분수계가 되고 있다. 그리고 두승산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동죽산, 망제봉, 시루봉은 이평면 구릉지로 연결되는데, 동쪽의 정읍천과 서쪽의 덕천천의 분수계를 이룬다. 이와 같이 정읍천 유역 내부에서는 4개의 작은 산줄기가 연결되면서 5개의 지천을 구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