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301339
한자 河川
영어공식명칭 River
이칭/별칭 강,천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봉준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자연적, 인위적으로 조성된 유로를 흐르는 물줄기.

[개설]

정읍시의 하천은 산내면 전부와 신정동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동진강 유역에 속한다. 산내면에서 시작하는 하천은 모두 옥정호로 흘러들어 섬진강의 일부가 되고 있다. 신정동은 남쪽에 전라남도 장성군과의 행정 구역 경계가 분수계를 따르지 않는 구간이 있다. 장성새재에서 순창고개를 연결하는 능선의 남쪽으로 ‘ㄷ’ 자 모양으로 돌출된 신정동 지역으로 떨어진 빗물은 장성호에 모여 영산강이 된다.

[주요 하천]

동진강은 유역 면적 1,136.2㎢, 유로 연장 51㎞인 하천이다.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 여우치마을 빈시암에서 발원하여 정읍시와 김제시·부안군을 관류하고 새만금으로 유입한다. 동진강으로 유입되는 지류 하천으로는 국가 하천인 정읍천원평천, 고부천이 있다. 지방 하천으로는 최상류 산외면에서 상두천, 암치천, 정량천, 동곡천, 신배천, 주곡천이 유입되며, 칠보면에서는 칠보천, 은석천, 사제천, 은석천이 유입된다. 옹동면을 지날 때에는 수약천, 노현천, 척곡천, 내칠천, 용호천이 유입되고, 태인면을 지나면서 신내천이 유입된다. 이평면에서는 덕천천이, 신태인읍에서는 화호천이 유입된다.

정읍천은 유역 면적 214㎢, 유로 연장 33㎞인 하천이다. 정읍시 내장동 까치샘에서 발원하여 정읍시 중심부를 관류한 후, 정우면, 덕천면, 이평면, 신태인읍을 흘러 동진강에 합류한다. 정읍천의 지류로는 상류로부터 부전천, 금붕천, 천원천, 흑암천, 한교천 등이 있다.

고부천은 유역 면적 244.30㎢, 유로 연장 37.62㎞인 하천이다.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에서 발원하여 정읍시 고부면, 영원면을 흘러 부안군에서 동진강에 합류한다. 정읍시에서 고부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은 상류에서부터 순서대로 소성천, 갈수천, 운흥천이 있다.

원평천은 유역 면적 260㎢, 유로 연장 30㎞인 하천이다.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에서 발원하여 정읍시 감곡면을 지나 김제시에서 동진강에 합류한다. 정읍시에서 원평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은 감곡천이 유일하다.

[현황]

정읍시의 동진강 유역 하천은 동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넓은 호남평야를 흐르며, 방향은 대체로 동진강 본류를 향하여 북서쪽 내지는 북쪽으로 흐른다. 발원지 인근에서는 대부분 수지상 하계망을 이루며, 하천 정비 계획의 시행으로 자연 하천 상태에서의 곡류는 찾아보기 어려우나 일부 행정 구역 경계를 통하여 과거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직강화되어 곧게 뻗은 하도 내에 보와 제수문이 요소마다 설치되어 있고, 갈수기에는 유로가 하도 내에서 곡류한다.

드넓은 평야에 용수를 공급하기에는 유량이 부족하여 인근의 농경지들이 천수답의 역사가 긴 탓인지 정읍시에는 크고 작은 저수지가 많이 축조되어 있다. 근대 이후로 농업용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옥정호섬진강 물을 유역 변경하여 동진강으로 끌어들인 물을 여러 개의 도수로를 통하여 호남평야 각지로 공급하고 있다. 옥정호의 운암 취수구에서 산외면 종산리 팽나무정마을 앞으로 유역변경된 물은 동진강을 따라 흘러가다가 태인면 낙양리 낙양 취수문에서 정읍간선 도수로를 통하여 이평면을 지나 부안군 백산면에서 다시 동진강으로 유입한다. 일부는 김제간선으로 유입하여 김제시 광활 간척지까지 흐르며 부족한 수량을 보충하여 주고 있다. 칠보 취수구에서 칠보수력발전소로 유역 변경된 물은 동진강 도수로를 통하여 정읍시를 가로지르며 부안군 계화간척지까지 흘러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