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300035 |
---|---|
한자 | 笠岩山 |
영어공식명칭 | Ibamsan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정동|입암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유승상 |
전구간 | 입암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전라남도 장성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입암산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정동|입암면 등천리|입암면 하부리![]() |
성격 | 산 |
높이 | 654.3m |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신정동, 입암면과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경계에 있는 산.
[명칭 유래]
입암산(笠岩山)은 산 정상에 있는 큰 바위의 생김새가 마치 사람이 갓을 쓰고 있는 듯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자연환경]
입암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내장사 화산암류인 유대상 유문암, 반상 유문암, 유문암질 각력암, 용결 결정질 응회암, 용결 응회암, 라필리 응회암 및 응회암에 해당한다.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험준한 산악 지대를 이룬다. 영산기맥 상의 첫 관문이며 삼남대로 갈재[명승], 방장산, 문수산으로 이어진다. 입암산의 물줄기는 북쪽은 정읍천을 통하여 동진강에 합류하고, 남쪽은 장성호를 통하여 영산강으로 흘러든다.
[현황]
입암산은 정읍시 신정동, 입암면 등천리, 하부리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에 걸쳐 있는 높이 654.3m의 산이다. 경위도상으로는 북위 35° 29′ 00.60", 동경 126° 49′ 44.33"이다. 입암산 정상은 정읍시 신정동과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신정리 경계에 있으며, 갓바위는 정읍시 입암면 등천리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신정리 경계에 있다. 입암면에서 바라보면 갓바위의 모습이 뚜렷하게 보여 갓바위를 정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입암산은 내장산국립공원에 속하며, 입암산의 산줄기는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의 경계를 이룬다.
입암산 산행은 입암면 방면에서 오르는 구간은 급경사이나, 남동쪽 남창계곡의 전남대학교 수련원에서 시작하면 완만하게 할 수 있다. 갓바위에서 전망이 아주 좋아 방장산과 노령을 넘는 고속국도 제25호, 호남선 철도, 서해까지 보인다. 입암산 정상과 갓바위를 잇는 능선상에 입암산성이 있다.